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가항체 설계 시대의 도래

전문가 제언

항체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항원들과 특이 결합을 하여 이들을 무력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면역글로불린이다. 각 항체의 기본 단위는 경사슬 2개와 중사슬 2개가 이황화 결합을 하여 이루어진 Y자 모양의 단량체 분자로 단량체가 1-5개까지 모여 하나의 항체를 구성한다. Y자의 위쪽 두 가지에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특이 구조가 있다.

 

항체는 결합 특이성과 친화도가 매우 우수하여 진단, 치료 등의 용도로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항체의 시장성은 매우 커서 본래의 항체 형상을 변형시키려는 항체공학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항체공학은 치료 목적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근에는 재조합 항체 단편을 이용하여 다중가, 이중 특이성 및 기능성을 가진 항체를 개발하는 추세에 있다.

 

항체는 맞춤치료 및 특정 타겟을 지향할 수 있는 치료제로의 시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선진국에서의 항체 관련 연구개발은 활발하며 국가 및 기업 사이의 경쟁도 매우 치열하다. 2012년 매출액 상위 10개 약품 중 절반 이상이 펩티드, 단클론항체와 같은 생물학 제제였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항체의약품 시장 진입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로슈, 애보트, J&J사가 세계 항체의약품 시장의 83%를 차지하고 있다.

 

2007년 클로티냅(Clotinab)이 개발된 이후 많은 국내기업이 항체의약품 개발에 참여하고 있고 관련 기술 수준도 선진국에 근접하고 있다. 항체의약품의 국내시장은 20163,000억 원, 20201조 원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바이오시밀러 항체 개발에 우선 주력한 다음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면서 치료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항체 분자를 개발해야 한다. 아울러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을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항체 설계기술의 발전으로 원래 IgG의 항체 약동력학, 혈액 청소, 종양 침투 및 종양 유지와 같은 제한사항을 극복할 수 있는 변형된 구조의 다양한 대체 치료항체 포맷이 임상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조작된 항체-기반 분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중특이 항체인 blinatumomab는 이러한 종류의 항체로는 최초로 2014년 미국 FDA에 의해 허가되었다.

 

저자
Natalia Nunez-Prado, Marta Compte, Seandean Harwood, Ana Alvarez-Mendez, Simon Lykkemark, Laura Sanz, Luis Alvarez-Vallin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0(5)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88~594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