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파키스탄 전력생산에 바이오가스 잠재력 조사

전문가 제언

파키스탄은 에너지 부족이 심각하여 원유 수입에 매년 145억 달러를 지출하며 전기 공급은 하루 14-20시간에 그치고 있는바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파키스탄은 농업국인바, 축산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이 크게 장려되고 있다. 1m³의 바이오 가스는 2.5kWh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으며, PCRET라는 국가적인 신재생에너지 기술 위원회를 설립하여 4,109개의 바이오가스 플랜트를 설치/운영하였다.

 

바이오 가스 플랜트 설비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독일의 경우, 2013년 기준 7,820개소가 운영되며 플랜트당 평균 발전량은 459kW에 달하고 있으며, 바이오 가스 플랜트의 건설은 2008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독일의 경우 발전 비용 및 발전시설 투자비는 바이오 가스가 6.5센트/kW, 2$/W, 원자력의 경우 6센트/kW, 1.6$/W, 석탄의 경우 4.8센트/kW, 1.2$/W보다 높으나, 독일 정부는 환경적 혜택, 석유수입억제 및 농가소득 지원정책으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선진국인 독일 또는 개도국인 파키스탄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바이오 가스 플랜트에 대한 정부의 뚜렷한 종합적인 지원책이 없다. 폐기물과 관련된 사업은 대부분 중소기업 사업으로 지정되어 있고, 이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마다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상태로는 전국적인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축산분뇨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아, 하천과 호수의 부영양화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조류독감, 구제역 등과 같은 질병 창궐 시 동물 폐기물을 제대로 살균처리하지 않아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전문위원은 현재의 지자체에서 중소기업의 의뢰하여 각자 추진하는 사업 체제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으나, 범국가적인 기술 및 사업 지원 기관을 설치하여, 한국 실정에 가장 적합한 바이오 가스 플랜트 모델의 개발, 최적 전처리 공정의 개발을 추진하고, 독일 및 파키스탄의 경우를 참고하여 사업 지원 체계를 효율화하고 정부 지원금을 상향 조치하여 바이오가스 플랜트 사업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저자
Waqar Uddi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5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5~33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