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용접의 기술개발 동향
- 전문가 제언
-
○ 레이저 용접은 아크용접에 비해 비드 폭과 열영향부 폭을 아주 좁게 하며 깊은 용입과 저변형의 용접부를 얻을 수 있는 용접법으로 특히 철강재료와 Al, Mg 합금 또는 CFRP 등 이종재료 간의 레이저용접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앞으로 자동차, 조선 분야의 멀티 머테리얼(multi-materials)화에 그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 레이저 발진기로 최근에는 파장이 약 1μm인 반도체레이저, 파이버레이저와 디스크레이저 등의 고체 레이저에서 높은 출력, 고효율, 고빔품질이 얻어지게 되어 그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100kW의 높은 출력의 파이버레이저가 등장하여 그 응용이 기대되고 있으며, 금후 핫 와이어(hot wire)를 이용한 극후강판의 수직 용접에의 응용도 연구되고 있어 EGW를 대체할 수 있는 고효율화가 기대되고 있다.
○ 이 해설에서는 최근에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고체 레이저로 파이버레이저, 디스크레이저, 반도체 레이저의 용접용 광원 기기의 개발현황, 레이저 용접 시 발생되는 결함 발생과 그 방지대책, 용접공정의 모니터링과 적응제어 기술개발,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용접을 이용한 이종 재료 접합기술 현황 등을 소개한 내용으로 최근의 레이저 용접기술개발 현황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레이저 용접은 모니터링과 적응제어기술 그리고 리모트 용접 스캐너용접 기술 등의 발전으로 더욱 고속, 고생산성의 용접방법으로 발전하고 있다. 시스템화와 자동화가 쉬우며 각종 제조업에서 고품질의 용접이 가능하여 자동차 철도차량, 선박, 교량 등의 중공업 분야와 전자 전기 산업기기 분야 등 여러 산업분야에서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 국내의 제조업에서 용접 인력의 고령화 현상이 심각하다. 따라서 국내의 조선, 해양 기자재 산업을 위시한 각종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레이저 용접과 같은 고도화 용접의 과감한 현장 채용 노력이 필요하다. 여기서 문제점 하나는 고가의 레이저 장비구입에 따른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이 크다는 점이다. 따라서 기업 간 공동투자를 도모함으로써 이 기술의 중소기업체 정착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 저자
- KATAYAMA Seij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84(8)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82~590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