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기계용 볼 스크류의 최신기술
- 전문가 제언
-
○ 기계설계에 있어서 볼 스크류의 역할은 모체 공작기계나 주변 이송장치에의 저마찰 특성, 고내구성, 정숙성, 높은 위치결정 정밀도 등으로, 이들은 모체 공작기계나 장치의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한편 최근에는 성능 면뿐만이 아니라 환경부하를 작게 하는 것이나 장치의 주변 환경을 청정으로 유지하는 일도 기계설계에 요구되는 중요한 요소로 기계장치의 클린화나 에너지 절약에는 다양한 볼 스크류가 사용되고 있다.
○ 따라서 공작기계나 이송장치, 산업용 로봇의 운동기구, 부품 운송장치 등의 설계에 있어 에너지 절약이나 클린화는 고성능인 볼 스크류의 적용이 필수이다. 이와 같이 볼 스크류는 다양한 기계류나 장치에 사용되는 요소부품이기 때문에 그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정공(日本精工)은 볼 스크류의 고속화를 위한 기술개발로 고속?고부하용의 대형 볼 스크류를 개발 이송속도가 1,000mm/s에 적용하고 있으며, 고기능 정밀 볼 스크류로는 축 지름이 15~50mm의 것에 운동오차가 거의 없는 윤활의 볼 순환방식의 볼 스크류를 개발 공작기계 메이커 등에 공급하고 있다.
○ 최근 우리나라의 전체 기계 요소산업 발전은 괄목할 만하다고는 생각되지만 품목별 요소들의 기술수준은 선진공업국에 비하여 미급한 점이 많다. 특히 공작기계를 대표하는 선반, 밀링머신, 머시닝센터, 연삭기 등 정밀하게 작업대를 이송시켜야 하는 공작기계의 이송기구의 요소기술은 낙후되어 이들 부품을 수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 요소부품의 생산이 주로 중소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품질의 고급화에 많은 시간을 요한다. 이는 기술개발의 자금력 부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 최근 IT산업이나 생화학 산업 등에는 상대적으로 정부의 투자가 많지만 공작기계 요소부품 개발에의 투자는 미급한 것이 현상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기관의 적극적인 기술개발 투자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저자
- Yutaka NAGA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6
- 권(호)
- 60(1)
- 잡지명
- 機械設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5~50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