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간와이어 레이저용접법을 이용한 후강판의 수직 단층 용접기술

전문가 제언

최근 해양수송의 효율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박, 특히 컨테이너선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는데, 이러한 시점에 구조물에 사용되는 강판의 두께는 점차 두꺼워지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중후강판의 접합에는 일렉트로가스 아크용접(EGW; Electrogas Arc Welding)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EGW는 높은 입열량이 원인이 되어 결정립 조대화와 열영향부가 확대되어, 용접접합부의 인성이 심각하게 감소된다. 그래서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갖춘 중후강판을 접합하기 위한 용접공정에 더욱 낮은 입열량의 적용에 대한 강한 요구가 일어나고 있다.

 

용접부의 인성을 크게 해칠 수 있는 EGW 대신에 낮은 입열량과 낮은 회석률로 후강판을 용접할 수 있는 새로운 용접기술의 출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본 논문에서 소개된 열간와이어를 이용한 단층(single-pass) 수직 레이저용접기술은 이러한 요구에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에서는 열간와이어 레이저용접법을 이용한 후강판의 최신의 단층 수직용접 공정이 제시하였는데, 조선소에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26mm 두께의 KE47강판에 1.6mm 직경의 JIS Z 3325 YGL2-6A(AP) 용가와이어가 사용되었으며, 단층 수직 용접하는 동안에 용융지의 안정한 형성과 용가와이어의 안정한 공급을 위하여 직각 형태의 커다란 빔스폿이 적용되었다. 특히 위빙 레이저조사(irradiation)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유지하고 강판 사이에 갭이 크다고 할지라도 용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극후강판에도 적용이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내 컨테이너선박을 제조하는 회사로 현대미포조선(),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STX조선해양() 등이 용접부 품질이 우수하고 효율성이 뛰어난 최신 용접기술의 개발에 활기를 띠고 있으며, 최근 중국의 선박제조사들도 값싸고 효율성이 뛰어난 용접기술의 개발에 도전장을 던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실용성이 있고 효율적인 선박 제조기술 중에 하나인 열간와이어에 의한 위빙(weaving) 레이저용접법을 이용한 후강판의 수직 용접기술은 국내 선박 제조기술의 국제적인 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Eakkachai Warinsiriruk,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33(2)
잡지명
溶接學會論文集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43~147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