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 재제조를 위한 생산품개발공정에 대한 조사
- 전문가 제언
-
○ 빠른 패션변화 추세는 의류 소비를 높이고 패션상품 수명을 단축하고 있으며, 직물폐기를 증가시키고 있다. 패션산업의 비지속성 풍조에 대한 새로운 경영모델 또는 전반적인 시스템을 다시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섬유패션 재제조는 이런 차원에서 의류를 재순환하여 의류 폐기물을 줄여서 환경 부담을 줄여주는 전략 가운데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 본 연구는 재제조 개념, 역 공급사슬의 필요성 그리고 장애 및 기회를 조사한다. 문헌을 섭렵하여 영국에 있는 극소규모 섬유패션회사 다섯을 선정하여 현장연구와 반 구조적 면접을 하여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여 조사했다. 다섯 회사 자료를 교차사례(cross-case) 분석으로 처리하여 서로 비교하고 각 공정 간에 차이와 유사성을 탐지했다.
○ 조사결과 핵심 역할을 하는 역 공급사슬이 재제조업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생산품 개발공정은 연구 및 분석, 개념 발달(분해 및 디자인 아이디어 개발), 표본 마련, 패턴개발 및 절단 그리고 제조 순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지속가능 디자이너, 패션 소매상, 상업적 폐품수집상들이 공동노력 관계를 잘 성립한다면, 재제조업은 상승효과를 타고 대혁신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집품에 대해 분류하고 등급을 매기고 분해작업 등에 대해 표준화하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섬유패션 재제조 공정은 생산품의 수명주기를 연장하고 모든 자원, 에너지 및 노동을 최대화할 뿐만 아니라 태우거나 매립하거나 하여 공기 및 토양을 오염시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원 원료 수요를 줄이고 염색 및 직물 마무리를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을 줄일 수 있다.
○ 여하간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 산업이 현재 경제상에 주 흐름임이 분명하다. 한국에는 아직 패션 재제조업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분야에 가내공업으로 성행하고 있지만 실태 파악도 제대도 되어있지 않는 편이다. 앞으로 한국섬유산업연합회는 극소규모 패션기업 및 재제조 기업을 파악하고 이 분야에 대한 분석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Geetha Dissanayake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04()
- 잡지명
-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4~102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