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에 취약한 영양소, 독성물질 및 후생적 유전자 교란에 대한 분자적 경로의 평가
- 전문가 제언
-
○ 비만은 섭취하는 음식물의 열량과 육체적 노동을 통하여 소모하는 열량의 불균형에서 비롯되는 질병이다. 또한 산업을 통해 생산되는 오염물질도 비만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WHO에 의하면 성인 중 6억 명의 인구와 4천 2백만 명의 어린이가 비만인 것으로 추산하는데 이 수치는 1980년 이후 2배에 해당되는 수치이다.
○ 2015년 2월 markets and markets사의 보고서에 의하면 체중 감량 시장은 2014년 1억 5천 달러에서 2019년 까지 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시장은 식이, 기구 및 기타 서비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 중에 식이 조절 시장이 가장 크다.
○ 국내에서 생산 판매되는 비만 억제와 관련한 건강기능 식품으로는 주로 난소화성 고분자 섬유성분인 식이섬유와 녹차 추출물 등이고 또한 체지방을 억제하는 효능을 지닌 식품으로 공액 리놀렌산, 히비스커스 등 복합추출물 및 가르시니아와 캄보지아 등을 함유한 건강기능식품 등이 생산되고 있다.
○ 이들 제품이 비만 억제 효능이 크지 않고 심지어 역작용이 초래되는 이유는 정확한 작용기전에 의해서 제품이 디자인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비만 억제 제품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생체 대사와 후생적 유전자 조절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이들 요인을 고려하여 비만 억제 제품이 생산되면 신뢰성이 높은 제품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비만은 비전염성 전염병이고 또 만병의 근원이라고도 합니다. 비만원인은 과식, 운동부족 그리고 스트레스라고 보통 말하는데 기타 체형, 유전 등이 관여된다. 식량 부족시대에는 50∼60대 에야 비만과 부작용으로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혈관병 등 성인병이라 하였으나 최근 초등학생 연령에도 고도 비만부작용이 되어 생활습관병으로 부르는 때 본 연구는 이의 예방과 해결에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Jing Xue, Folami Y. Ideraabdullah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6
- 권(호)
- 30()
- 잡지명
-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13
- 분석자
- 고*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