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상의 안전성 행동에 관한 이해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인터넷에 접속된 사용자들은 다양한 온라인 보안위협을 경험하고 있으며 온라인상의 안전위협에서 현실적으로 업무와 연결되어 개인의 사생활에 해를 끼칠 수 있는 피싱 공격, 경제정보의 보안성, 바이러스, 말웨어, 공격자 식별 등에 관련되어 위협을 경험하고 있다. 컴퓨터 및 기술 활동과 연관된 높은 위험의 결함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컴퓨터,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는 매우 미미하다
○ 온라인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행위가 위협 및 대처평가에 의해 동기화되는 PMT(Protection Motivation Theory)을 적용하여 위협에 대한 취약성과 민감성을 평가하여 결과를 알려주는 인터넷 사용자의 정보보안 이해를 위한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새로운 동기부여 요인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위협에 대한 심리적 요인에 의하여 보호 동기가 이루어지는 행동 변화에 대한 조사가 미흡하다.
○ 국내외 180여만 개(국내 150만, 해외 30만)개의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 해킹, 변조, 침해사고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위협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나 그 실태는 매우 미미하다. 온라인 위협에 대한 지능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사용자 및 그룹의 이상 행위를 분석하고 사기행위자 분류 및 로그인 전후의 모든 행위에 대한 실시간 가시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멀티 인증 프레임과 같은 단계별 인증절차를 추가하여 인증을 강화하는 총체적인 온라인 위협에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온라인 안전성 행위에 대한 분석과 온라인상의 위협 발생 패턴 및 온라인 접속을 통한 위협평가는 데이터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분석 및 평가는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자의 신뢰수준을 높이기 위해 프라이버시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조직이나 정부기관에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Hsin-yi Sandy Tsai, Mengtian Jiang, Saleem Alhabash, Robert LaRose, Nora J. Rifon, Shelia R. Cotte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59()
- 잡지명
- Computers and Securi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38~150
- 분석자
- 조*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