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저장을 고려한 사용후핵연료의 방사선학적 특징 및 거동 특성
- 전문가 제언
-
○ 독일은 사용후핵연료를 지층 처분하기 전에 저장·수송 겸용 용기에 건식저장을 하는 방식으로 저장기간을 40년까지로 인허가를 받았다. 처분부지 선정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저장기간의 연장은 필연적이므로 핵연료 집합체와 캐스크 구성물에 대한 안전성평가를 확대하여야 한다.
○ 19개 연료 집합체를 넣은 기준 캐스크를 만들어 분석하였다. 연소도로 선원 항과 기체 핵분열 제고량(inventory, 핵종 및 함량)을 결정하고, 열적 및 역학적 분석을 하여 피복관 온도와 원주응력을 예측하고, 입자이동 및 차폐 계산을 하여 저장기간 100년 동안의 표면 선량률을 결정하였다.
○ 수소화물 재흡착(hydride reorientation)을 초래하는 원주응력은 55GWd/tHM 이상의 연소도인 연료봉에서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기간연장에 의해 피복관 온도가 연성을 잃어 부스러지는 전이 온도(DBTT)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은 증가하였다. 선량률은 부분적으로 4개 MOX 집합체를 넣은 캐스크의 표면 선량률이 3배 높았다.
○ 우리나라는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위원회의 권고안에 따르면 2051년에 처분장운영을 하며 이전에는 사용후핵연료는 임시저장을 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각국의 저장 방식에 대한 현황분석은 하였으나 우리나라의 저장 방식은 아직 결정된 상태가 아니다
○ 건식저장은 1992년부터 2010년까지 300기의 콘크리트 사일로에 중수형 핵연료를 넣어 시범운영 중에 있고, 저장·수송 겸용 캐스크에 대한 연구도 여러 기관에서 선행연구 중에 있다.
○ 처분장을 2051에 운영하는 것은 처분부지 결정이 쉽지 않아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사용후핵연료 저장 방법 및 기간도 현재는 불확실한 상태이지만, 본 연구는 저장·수송 겸용 캐스크에 대한 안전성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사용후핵연료 장기 건전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 저자
- F. Rowold,K. Hummelsheim,S. Keßen,J. Steweri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84()
- 잡지명
- Progress in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5
- 분석자
- 박*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