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비식용 바이오연료 생산 잠재력

전문가 제언

이 문헌에서는 중국의 비식용 바이오연료 잠재량을 다루었다. 여기에는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이 있다. 에탄올 생산은 에너지 작물, 농업 및 삼림 잔사, 폐당밀에 토대를 두고 예상했으며, 바이오디젤은 에너지나무 열매와 폐식용유를 원료로 생산 잠재량을 예상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의 비식용 바이오연료 잠재량은 201575.60백만 톤, 2030152.12백만 톤으로 추산된다.

 

중국의 원유수입의존도는 1993년 원유수입이 개시된 이래 증가하였다. 더욱이 2013년 중국이 미국을 능가하여 최대 에너지 소비국이 되었고, 원유 소비 514백만 톤 중 289백만 톤을 수입하였다. 이것은 중국의 원유수입이 2013년에 56.23%임을 나타낸 것으로, 바이오연료를 원유 수입제한을 경감시키는 방법으로 개발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바이오연료의 제한된 생산으로는 에너지 수급간의 간극을 메울 수는 없다.

 

중국은 에너지 안보를 위하여 바이오연료를 대폭적으로 증산하여야 하나, 바이오연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어서, 풍력,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재생에너지 생산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로 분류되지는 않으나 기후변화에 영향이 적은 원자력발전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어, 기후변화협약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등 액체연료를 비식용원료로부터 생산은 경제적으로는 채산이 맞지 않으나, 외국으로부터의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디젤의 수입을 고려하고 있다. 폐식용유로부터의 바이오디젤은 여러 회사에서 시범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남부지역의 논에서 쌀 생산 이전에 이모작으로 생산하는 유채도 정부지원으로 생산하고 있다. 앞으로 기후협약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제반노력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Wei Chen, Fangwei Wu, Jinhua Zh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85()
잡지명
Renewable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39~944
분석자
이*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