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시계를 활용한 원격 건강 모니터링
- 전문가 제언
-
○ 스마트 시계(smart watch)를 이용해서 사람이 앉고 서고 눕는 모습을 추적할 수 있는 플랫폼에 대한 UCLA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리뷰 하였다. 여기서는 스마트 시계를 이용한 플랫폼이 미래에 원격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원리실험을 수행하고, 이를 이용한 시스템 가능성을 진단한다. 일단 실험실 환경에서 사용자의 거동을 정확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샘플링시간을 줄이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
○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의 기본이 되는 유연전자 및 신축전자를 연구하는 소재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원천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신축 회로보드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신축 특성을 가지는 섬간의 상호연결(interconnection) 기술과 신축특성 소재를 기하학적으로 가공하는 방법과 탄성과 전기전도성을 동시에 지니는 소재개발 연구가 집중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에서 웨어러블 컴퓨터 기술개발과 프로그램 연구는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특히 ETRI의 인지기능 연구팀(팀장 김재홍)의 박찬규, 김재홍, 최호진의 'watch-type human activity detector for the age care'논문은 이 연구에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되었다. 스마트 시계를 통한 인지시스템 연구가 연세대(이승우)에서, 치매환자를 위한 u+Health care연구는 세종대(신동민)에서, 한방치료를 위한 스마트 시계 활용이 한의학 연구원에서 수행되는 등 스마트 시계 활용연구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 스마트 시계를 활용하는 특허도 최근 다수 출원되고 있다(103개, 한국특허출원 2002년-2016년). 스마트 시계의 스크린 면적을 확대시키기 위한 곡면 글라스(염진우, 2013), 스마트 시계를 이용한 심전도 관리시스템(울산대, 2014) 등 스마트 시계를 활용한 특허취득이 증가되고 있다. 노령인구의 비중이 점증되고 현대인의 건강관리 시스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웨어러블 감지 시스템의 개발연구 활성화를 위해 이 리뷰를 추천한다.
- 저자
- Bobak Mortazav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15()
- 잡지명
- Sensor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6783~26800
- 분석자
- 윤*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