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목초종자의 밀식파종에 의한 돼지풀 방제

전문가 제언

돼지풀은 북아메리카에 자생한 일년생잡초이며, 19세기 동안에 유럽으로 유입되었다. 유럽에서는 침입종이 되어 강어귀에 군락을 형성하였으며, 농경지, 황무지, 폐농경지, 도로변과 같은 서식지에서 주로 발생되었다. 돼지풀은 알레르기 꽃가루 때문에 인간의 보건문제를 야기한다.

 

돼지풀에 의하여 침입된 교란된 지역에서 신속하게 높은 경합수준을 유인하는 초지초종 파종방법은 토착 식물군락의 복원 촉진과 돼지풀 전파를 방지하는 실질적 기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초종은 개나래새(Arrhenatherum elatius), Anthyllis vulneraria, Lolium multiflorum, 호밀풀(L. perenne), Medicago lupulina, Saguisorba minor이다.

 

돼지풀의 가장 효과적인 종합적인 방제는 밀식파종과 예취에 의한 자연초지 복원과 생물방제에 기초하여야 한다. 돼지풀로 침입된 지역에서 돼지풀 방제를 위하여 재래종 건초종자 혹은 상용 화본과 목초종자를 혼합하여 밀식으로 파종하는 경합력 증진방법에 의하여 관리하는 전략이 바람직하다.

 

우리나라의 돼지풀도 왕성한 번식력으로 전국에 퍼져있는 실정이다. 돼지풀은 외래 침입종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알레르겐을 많이 함유하는 꽃가루를 생산하여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는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하여 생태계 위해외래식물로 지정되었다. 돼지풀은 도로변이나 하천변에 많이 발생하므로 제초제에 의한 방제가 어려운 면이 있으므로 예취, 경합 등 생태적 관리 연구가 요망된다.

 

저자
R. Gentili, F. Gilardelli, S. Ciappetta, A. Ghiani and S. Citteri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5()
잡지명
Weed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78~288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