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초제 저항성 발생의 관리

전문가 제언

제초제 저항성잡초의 발생과 전파를 막으려는 현재의 시도는 잡초집단에 노출된 제초제 작용기작, 즉 특정 작용점 혹은 생화학 과정을 제어하는 제초제 활성화학의 다양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초제의 윤번처리와 체계처리는 계속되는 작기에 혹은 동일 재배기간에 각각 다른 작용기작을 가진 제초제 사용과 동시에 다중 작용기작 제초제와 혼합처리에 의하여 개체별 작용점에 대한 선발압을 감소시킨다.

 

제초제의 혼합제 사용은 공간적 감염 혹은 잡초군락, 토양 혹은 지형적 특징과 관계없이 glyphosate 저항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혼합제초제 사용에 대한 명확한 관심은 요구되는 제초제 양을 증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농민에게 제초비용과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고 환경피해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혼합제 처리전략은 작용점 저항성을 해결하는 영구적 해결책은 아니며, 혼합제 처리는 제초제 저항성을 지연시키지만 예방할 수는 없다. 장기적으로 비용대비 효과적인 환경친화적 잡초관리는 제초제 저항성형질에 대한 선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잡초관리방법이 요구된다. 화학적, 경종적, 기계적, 생물적 방법을 통합한 종합잡초관리방법은 제초제 의존도를 줄이는 동시에 비용대비 효과적인 잡초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털비름을 비롯한 여러 종이 농경지나 비농경지에 무성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다행히 glyphosate 저항성잡초인 Amaranthus tuberculatus 발생은 보고된 바 없다. 그러나 비농경지에 glyphosate를 광범하게 사용하고 있으므로 계속 저항성잡초의 발현을 모니터링하여 저항성잡초를 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J. A. Evans, P. J. Tranel, A. G. Hager, B. Schutte, C. Wu and A. S. Davi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72()
잡지명
Pest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4~80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