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방향 감지에 의한 정보관리 방법
- 전문가 제언
-
○ 생체인식 인증과 HCI분야에서 눈 영역 및 눈동자 이미지와 시선 및 시각, 패턴변경을 이용한 눈 영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 및 시스템의 조정과 안전 및 보안서비스에 활용하는 사례와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IoT 영역에서 가상현실기기로 알려진 HMD, 장갑 및 슈트 등의 응용이 재검토 되는 상황이나 여전히 가상현실 기반의 오락 및 게임위주의 역사적 상속 특성이 강하다. 눈 감지(eye-detection)에 의한 화면 정렬이나 정보감지 등 본고 기술 특허는 구글글래스의 지속적 개발이나 기존 개발기술의 HMD활용을 예상하게 한다.
○ 이미 구글은 IoT기반 일상라이프 구현을 위한 See-through 형태의 구글글래스 개발 출시했고, 시험개발 프로젝트를 통한 상용화 진행을 했던 업체로서 타 경쟁업체와 같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2015년 구글글래스 판매중지가 발표된 이후에도 응용사례가 존재하고 글래스 관련 기술의 특허출원 형태로 보아 기존기술의 기술적 완성도 향상과 IoT기반 생활상품으로 활용가능성이 예상되어 대응이 요구된다.
○ 오큘러스, MS, Sony, Imera, ANTVR 등의 HMD 업체, 뷰직스, 앱손, MS, 삼성, 소니 등의 증강가상현실 글래스 업체 외에 Virux, Innovega 같은 다수 업체들이 IoT디바이스로서의 글래스나 렌즈 등 다양한 디바이스와 플랫폼을 개발 중이다. 국내 스타트업들의 검토가 요구된다.
○ 키워드 'Eye Detection'에 의한 과거 10년간 국가별 특허건수는 일본, 미국, 중국, PCT, EU, 한국, 캐나다, 영국, 러시아, 독일 순으로 일본과 미국이 52%로 강세이며 미국 내 특허도 일본 업체가 지배적이다. 미국 업체는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있으며 구글 경우 2016년만 6건으로 강력히 추진 중이다. 중국의 특허건수는 한국의 3배 이상이며 한국의 주요 출원자는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ETRI등이다. 주요 세계특허(PCT) 출원자는 칼자이스 의료, 파나소닉, 닛산자동차, 마이크로소프트 라이센싱, 토요다자동차, 캐논, 마쓰시타 전기 등이다. 자동차 업계에서의 운전자 안전을 위한 눈 감지 기술의 연구개발이 특징적이며, 국내 연구개발 분야 확대와 기존 연구개발의 가속화가 요구된다.
- 저자
- google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43820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4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