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I 기반의 IoT기기의 프로파일 생성기술
- 전문가 제언
-
○ IoT기술은 인구고령화에 따라 원격진료를 통한 건강관리 및 피트니스 서비스 등의 의료비용, 스마트 가전을 통한 미디어재생(데이터, 음성, 동영상, 보안, 에너지관리 등)기술개발 비용, 기업의 건물(시설)에 대한 운영비용 등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산업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신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 특허기술과 같은 ALI 기반의 IoT기기의 프로파일 생성기술은 국내 IoT기기의 하드웨어 및 플랫폼 설계 기술 분야에 파급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 ABI리서치 보고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사물인터넷(IoT) 기술개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 170만 명, 2019년 300만 명의 전문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관련 개발자가 급증하는 것은 사물인터넷에서는 기계와 사물 간 자동화된 대량의 정보처리가 필요하다. 이에 SW 부문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의 경우에도 IoT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에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 IDC의 보고에 의하면, 아시아/태평양지역(일본 제외)에서의 2020년까지 사물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기기 및 사물(things) 대수는 무려 86억 대 규모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아울러 전체 시장규모는 5,830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처럼 거대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핵심기술 개발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 IoT기술은 정보(information)와 자동화(automation) 개념을 확장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그간 많은 IT기업과 전문가들의 해결과제 중 하나는 시스템통합이었다. IoT기술은 모빌리티 및 클라우드 특성을 이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IoT기술력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보다 더 많은 기기가 정보에 접근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IoT의 핵심 구성요소인 네트워크, 디바이스(컴퓨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때 IoT산업은 더욱 많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QUALCOMM INCORPORATE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8746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77
- 분석자
- 박*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