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로진 레진 접착제

전문가 제언

본 발명특허의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앞으로 다소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로진과 레진을 기반으로 하는 접착제는 국내에서 광범하게 쓰일 것이고, 그에 따라 특허권 침범의 한계를 따질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로진(Rosin)이나 레진(Resin)을 대신해서 접착제를 제조하고 이를 상품화한다면 매우 바람직한 방향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특허에서 주장하고 있는 특허에 관한 권리는 로진-레진을 기반으로 한 접착제의 제조방법과 접착제의 조성에 관한 것이다. 지방족 성분으로 개량된 로진-레진 접착제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 첫째 권한이고, 그 다음이 창의적인 방법으로 개선된 로진-레진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둘째 권한이다. 로진 폴리올 에스테르를 로진과 폴리-올을 반응시켜 생산하고, 로진-폴리올 에스테르를 지방족 단량체 물질과 반응시켜 개량된 로진-레진 접착제를 합성 제조하였다.

 

국내 접착제제조회사에서도 순간접착제에서부터 강력접착제에 이르기까지 각종 접착제들의 특허권을 가지고 제조 생산하고 있다. 에폭시 레진이나 페놀수지를 기반으로 한 접착제들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최근에 국립산림자원연구원에서 천연재료에 의한 무공해 접착제를 만들고자하는 시도를 진행하고 있다. 나무에서 생산되고 있는 송진이나 로진의 원료를 이용하는 것은 대단히 좋은 착상이다. 다만 그 자체로는 접착력이 약하고 지속성이 오래가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여 복합재료를 기반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종래에 사용하여오던 에폭시 레진이나 페놀수지와 같은 석유화학 원료들로 만들어지는 접착제들은 독성이나 환경공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그 문제들을 해결해야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원료들을 사용하드라도 그 접착제에 내포하고 있는 독성을 주려줄 수 있고 접착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연에서 생산되고 있는 무공해 성분들을 택하여 강력한 접착력을 갖는 접착제를 제조 생산하여 공급하여야 될 것이다.

저자
INGEVITY SOUTH CAROLINA, LL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WO20160032850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0
분석자
성*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