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머 함유 아졸 금속 복합체 조성의 광 기폭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높은 신뢰성이나 정밀도를 요구하는 기폭장치에서는 주로 전자식 기폭관을 사용한다. 그러나 전자식 기폭관은 정전기나 전자파에 민감하여 종종 폭발사고의 원인이 되거나 적의 전자파 공격에 의해 무력화되는 경우도 생긴다.
○ 화약의 광기폭은 높은 안전성 때문에 전기식 기폭관의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거짓 신호로부터 발파회로를 보호할 수 있는 신뢰할 만한 방법이다. 그 이유는 의도적이지 않은 광신호는 기폭관을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정도의 에너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 광 민감 에너지물질의 레이저 펄스 기폭은 로켓과 우주기술, 그리고 화포체계의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폭기술의 하나이나 전문기술자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섬광등이나 레이저 다이오드는 간편성과 신뢰성으로 인해 광기폭 장치에 사용하기에 더 바람직할 수 있다. .
○ M. A. Ilyushin 등은 에너지 75J, 지속시간 2-3 마이크로초인 섬광등 빛이 구리(II) 과염소산염 혼합물 기반 광민감 조성 EC-1과 수은(II) 과염소산염 혼합물 기반 광민감 조성 EC-2를 성공적으로 점화하였다. 그들은 또한 EC-2 조성이 더 강력한 폭발을 일으켰기 때문에 광민감 에너지물질로서 EC-1 조성보다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 광민감 조성 EC-2는 섬광등 빛이나 약한 레이저 다이오드 빛으로 고폭화약에 폭발을 유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EC-2 조성을 가지고 개발된 광기폭관 모델이 PETN 기반 PBX와 폭발코드를 안정적으로 기폭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정전기나 전자파로 인한 폭발사고가 적지 않고 적의 전자파 공격을 염려해야하는 우리의 현실에서 광기폭기술의 발전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M. A. Ilyushin 등의 연구결과는 레이저 기폭보다 간편한 방식의 광기폭관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다만 다중기폭처럼 수백 나노초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좀 더 깊이 있는 검토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S. I. Gerasimov, M. A. Ilyushin, V. A. Kuz’min, I. V. Shugale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12(4)
- 잡지명
- Central European Journal of Energetic Material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671~687
- 분석자
- 송*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