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모비봇의 사이버 위협

전문가 제언

북한의 사이버전력 규모와 공격력은 선진국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악성코드, 역추적 방지, 해킹 통신 암호화, 흔적 삭제기술을 이용한 첨단 봇넷과 디도스와 같은 사이버공격은 우리 군의 통신망과 무기체계의 작전 수행능력을 무력화하는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봇넷은 악성기계인 봇운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감염된 봇 망이다. 봇운용자는 악성공격과 봇망 통제를 위하여 상호통신용 명령제어(C&C) 메시지와 서버로 구성되며 서버는 악성 클라이언트가 스팸전송과 디도스 공격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사이버 공격위협은 기존 하부구조 없는 이동형 모비봇 위협으로 진화되며 정보보안 기술보다 빠르게 발전되고 있다. 이동형 장치들의 통합플랫폼 환경에서 이동망 내에서 모비봇을 형성하여 공격한다.

 

고전 봇넷처럼 모비봇 수명도 감염 통신 공격의 3단계로 구분된다. 모비봇은 수 분만에 96노드를 감염시키며 10,000노드까지 확산된다. 모비봇 공격은 망 외부에서 시작되므로 침입 전 변칙 트래픽 탐지와 방화벽을 설치하여 침입과 공격의 사전방어 기법이 필요하다.

 

모비봇의 수평형 감염구조는 개인과 협력사용자 공격에 유리하다. 그러나 모비봇의 D2D 통신 패러다임은 봇넷보다 확장성이 낮아 봇넷 관리와 모집이 어렵지만 모비봇의 확장성을 억제하는 기법이 요구된다.

 

북한의 계속되는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국가안전과 정보보호를 위하여 ADD는 국방 사이버 기술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전문 인력양성과 독자적인 사이버 기술개발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 금융과 국방관련 시스템에 악성 봇넷 프로그램이 유포되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ETRI와 보안연구소를 중심으로 관련 백신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진화하는 모비봇 방어를 위해 보다 많은 연구투자가 필요하다.

저자
Abderrahmen Mtibaa, Khaled A. Harras, Hussein Alnuweir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53(8)
잡지명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61~67
분석자
조*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