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소전력 협대역 송신기
- 전문가 제언
-
○ 극소전력 협대역 송수신 기법은 훈련과 전시상황의 야전지휘소에서 급증하는 통신수요에 의한 수많은 전자 통신장비간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좁은 대역폭은 상대적인 수신감도를 향상시켜 원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하므로 항만 비행단 야전전술 지휘소의 통신소요를 판단하여 차기 새로운 전술 통신망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 협대역 송신기는 데이터 전송대역폭이 좁아 많은 량의 데이터를 보내지 못하지만 인접채널간의 간섭이 적다. 따라서 높은 수신감도를 유지하므로 소 출력으로 원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극소전력 송신기를 이용한 무선시스템의 소형화 통합설계는 사물 인터넷까지 확장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송수신 기법은 소모전력 감소로 배터리 소형화와 수명연장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장치의 전력소모는 방사출력, 선형성, 민감도, 채널화 능력, 간섭민감도와 같은 성능의 상호 절충방법에 따라 좌우된다.
○ 기존 고출력 시스템의 PA효율은 시스템 전력버짓에 좌우되지만 극소전력 송신기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송신기 설계의 주요 변수는 송신기 효율로서 낮은 출력으로 고효율 송신기 구현은 어렵지만 ‘높은 Q 공진기’를 포함한 제안된 기법으로 구현 가능함이 입증되었다.
○ 원거리 통신에서 에너지 수확원의 제한으로 높은 효율의 극소전력 협대역 송신기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협대역의 스펙트럼 혼잡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스펙트럼 효율이 높은 변조구조와 고효율 MAC 프로토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선진국은 다양한 대역의 극소전력 송신기를 소형화하여 WSN과 BAN 등에 상용되고 있다. 국내는 ETRI와 KAIST를 중심으로 제한된 생체신호 센싱과 WSN 분야에서 실험실 시제수준으로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향후 증가될 민군소요를 예측하여 집중적인 산학연 연구투자와 체계적인 연구개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Dhon-Gue Lee, Loai G. Salem, Patrick P. Mercie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5
- 권(호)
- 16(3)
- 잡지명
- IEEE microwave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30~142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