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CaZrO3를 첨가한 BaTiO3 유전재료의 합성

전문가 제언

최근 정보통신산업의 발전과 함께 적층칩 세라믹 커패시터(MLCC)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즉 휴대폰,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LCD TV, 등에는 대당 수 백 여개씩의 MLCC가 사용된다. 이들 전기·전자 제품의 소형, 경량, 고성능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MLCC도 소형화 및 고용량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MLCC 제품의 크기는 개발초기에 3216(길이 3.2, 1.6칩 크기를 표현) 규격제품을 생산하여, 점차 2012, 1608, 1005, 등으로 소형화되었다. 현재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여 0603, 0402, 등으로 초 소형화되어 대량 생산되고 있다.

 

이것은 세라믹과 금속전극이 번갈아 쌓여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미세한 나노 파우더를 사용해야 세라믹과 금속전극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서 고용량 MLCC 개발이 가능하다. 유전체 재료를 합성할 때는 주로 BaTiO3에 다른 금속이온을 첨가물로 사용한다. 이들 재료는 유전특성에 따라서 COG, X7R, X8R, Y5V, 등으로 구분한다.

 

본 문헌은 BaTiO3Nb-Mn계와 Nb-Ni계 화합물을 각각 소량 첨가하여 유전체 재료를 만들었다. 여기에 다시 CaZrO3의 첨가량을 조절하면서 X8R 규격인 정전용량의 온도계수(C/C)=±15%에 맞출 수 있었음을 보여준 것이다.

 

세계적으로 MLCC 최대 생산회사는 일본의 ()무라타와 한국의 삼성전기()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삼화콘덴서()와 필코씨앤디,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현재 주원료인 BaTiO3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여기에 자체의 노하우에 의해서 첨가물을 추가하여 원료를 제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MLCC 산업은 초소형의 경우는 일본에 품질 경쟁력이 다소 떨어지는 실정이다. 또 가격 면에서 보면 중국 제품에 밀리는 시장 환경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초미립 분말과 유전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유전재료를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저자
Lingxia Li, Jingyang Yu, Yaran Liu, Ning Zhang, Junxiao Ch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Ceramic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696~8701
분석자
허*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