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자 투과 브래그에지 방법에 의한 금속재료 변형 및 조직정보의 가시화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가속기펄스 중성자원을 이용한 새로운 중성자 이미징기술을 이용하여 금속재료의 마이크로구조 정보의 비파괴평가 기술현황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이 기술은 물질의 다양한 벌크결정조직 구조정보를 10cm 이상에 미치는 넓은 범위에 걸쳐 비파괴로 정량적 가시화하는 것이 가능한 새롭고 독특한 재료해석 방법이다.
○ 구조재료나 기능재료의 강도와 가공성 및 전자기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재료의 세밀한 정보인 결정격자 변형, 집합조직, 우선방위, 결정입자 등의 결정조직 구조정보를 해석·평가함으로써 재료의 특징을 규명하고 있다. 특히 전자선, X선, 중성자선 등의 전자빔을 이용하는 방법은 결정조직 구조정보를 정량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전자빔 중에서 중성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두꺼운 철강 재료도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어 재료 내부의 정보를 비파괴로 분석을 할 때 많이 이용된다.
○ 중성자 방사화 분석기술은 1936년에 방사선 및 동위원소의 존재와 이용방법이 알려지면서 도입된 원소분석 기술이며 화학분석법과는 다른 고유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재료, 환경, 보건, 산업 및 사회문화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1962년 TRIGA 원자로시대부터 국가 연구개발에 이용되어 왔으며 1995년 하나로 건설이후 최대 측정능력 확보와 이용자 활용 증대를 위한 고-정밀 분석기술과 산업응용기술 개발에 활용되어 왔다. 2001년에는 즉발 감마선 방사화 분석 장치를 개발하여 붕소나 수소와 같은 경원소 분석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한국 인정기구(KOLAS)로부터 공인을 획득하여 측정분석값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산·학·연으로부터 요청된 분석지원도 수행하고 있다. 2007년에는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조사장치의 구축과 함께 핵분열성 원소측정용 지발 중성자 방사화 분석 장치도 성공적으로 구축·운영되고 있다.
○ 본문에 개관된 중성자투과 브래그에지방법에 의한 금속재료 변형 및 조직정보의 가시화 기술동향은 세계적 중성자 이용 분석기술의 조감도 파악과 향후 국내 관련기술 개발에 일조할 것이다.
- 저자
- Hirotaka Sat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65(1)
- 잡지명
- 非破壞檢査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3~39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