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웨어러블 기기의 인터페이스 제어기술

전문가 제언

이 기술의 핵심은 웨어러블 기기의 음성 및 터치/햅틱 입력 정보를 GUI를 통해 상호작용함으로써 그래픽 콘텐츠 디스플레이 제어기능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기법은 특히 이동 중에 다양한 사용자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는 웨어러블 기기의 사용자 그래픽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국내 GUI 설계기술에 파급될 수 있다.

 

이 기술의 주요 하드웨어 요소인 UID/모션센서/UIM/MDM : 그림112/15/20/22) 모듈은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주변의 웨어러블 기기와 소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했을 때 관제센터에 실시간으로 위급상황을 통보함으로써 처리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적 및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다만,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이 듀얼구조(그림114A, 14B)로 되어 있어 하드웨어 리소스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여 이벤트 발생상황에 따라 역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춘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2010년을 기점으로 스마트 미디어기기의 급속한 대중화와 아울러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 배터리 기술의 진보와 같은 기술적 진화를 통해 초소형 저전력 플랫폼을 갖춘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음성/제스처/이미지/생체인식/지능형 GUI 및 디스플레이/네트워킹/모바일 응용SW 기술들을 결합한 웨어러블 기기와 응용 서비스들이 늘어나면서 사용자와 인터랙션 할 수 있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로 진화하고 있다. 앞으로도 관련 기술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바 국내 스마트폰 제조업계의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한 분발이 요구된다.

 

2015년에 제정된 TTA 정보통신단체 표준[TTAK.KO-06.0412]에서는 스마트 웨어러블 응용 상호운영성 기준과 요소들을 정의하기 위해 OSI 7계층 모델을 기준으로 5계층으로 구성된 스마트 웨어러블 응용 상호운영성 참조모델을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상호 운용성 참조모델에 기초하여 다양한 산업표준을 개발하여 글로벌 시장 선점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저자
GOOGLE INC.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6
권(호)
WO20160003574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4
분석자
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