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빅 데이터로 신사업 창출를 지원하는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

전문가 제언

최근 빅 데이터 활용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방대하고 복잡한 데이터에서 질 높은 정보를 선별하여 발굴하는 것이 핵심역량으로 대두되고 있다. 빅 데이터를 최적으로 구축하고 분석 활용하기 위해서는 빅 데이터 큐레이션의 활성화가 필요한데, ‘빅 데이터 큐레이션은 빅데이터 전략을 제시하고 최적의 빅 데이터 구축에서 분석 및 활용까지 전 과정을 지휘하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빅 데이터 큐레이션의 활용분야는 미래 예측: 실시간 예측 및 자동 업데이트로 예측의 정확도가 높아진다. 숨은 요구 발견: 소비자의 일상생활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패턴을 발견하여 숨은 요구를 발견한다. 위험경감: 정성적 정보를 대폭 확보함으로써 관리 가능한 위험의 범위와 정확도가 증대된다. 맞춤형 서비스: 고객 개인별로 차별화하여 스팸이 아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실시간 대응: 고객과 경영 환경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진 것 들이 있다.

 

빅 데이터 큐레이션이 실질적 성과를 위해서는 주요 장애요인을 보완해야 하는데 이는 내부조정 및 보안 문제 창출가치 미흡 문제 역량발전 단절 문제 기능조달 실패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융합하는 시야가 넓고 단계적인 과제 수행과 학습으로 역량이 높은 조직 내부에서 육성된 큐레이터를 활용하고 빅데이터 협업 소생태계를 운영하여 외부지원을 활용하는 것이다.

 

국내도 기업의 업무혁신, 신규 사업이나 창업 등에 빅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큐레이션이 수행되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하면 초기 단계에 불과한 실정이다. 국내 인터넷 등 IT 인프라 등은 세계적 수준으로 이들 자원을 활용하면 앞으로 국내 빅 데이터 큐레이션 서비스는 더욱 확산되어 활발하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빅 데이터 활용 현황을 보면 공공기관으로 금감원, 핵융합연구소와 민간분야에서는 삼성SDS, 현대카드, KT, SKT, NHN 등을 들 수 있다. 국내 빅 데이터 큐레이션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가의 정책적인 지원 하에 산학연의 유기적인 연계로 체계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
Takanasi Masuk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66(4)
잡지명
雜誌FUJITSU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74~80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