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크레디트기반 스케줄링 알고리즘
- 전문가 제언
-
○ 클라우드 컴퓨팅은 좋은 서비스정책과 동의어가 되고 있다. 클라우드로부터 좋은 서비스를 성취하기 위하여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클라우드 제공자는 자원총량으로 제한되고 최고의 사용을 쟁취하기 위하여 강요된다. 과제 길이를 고려함으로써 과제의 폭을 축소하는 데 Min-Min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클라우드 제공자는 사용자 만족을 달성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 만족과 자원 유용성을 아우르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이 문헌은 사용자 우선순위(priority)와 과제 길이에 기반한 전통적 알고리즘을 분석한 후 개선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과제 길이와 사용자 우선순위의 요인 모두를 고려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는 자원사용에서 괄목한 개선을 보인다.
○ 향후 제안하는 스키마는 기한(deadline)과 같은 다른 매개변수를 고려함으로써 향상될 것이다. 기한을 갖는 과제는 실시간 시스템을 위하여 확실한 과제 스케줄링에서 중요성을 가질 것이다.
○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서비스에서 데이터 저장과 처리,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 ICT 관련 서비스를 한 번에 제공하는 기술이다. 인터넷 접속만 가능하면 고성능 기기가 아니라도 원격에서 정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하면 컴퓨터 시스템을 유지, 보수, 관리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과 서버의 구매 및 설치비용, 소프트웨어 구매비용 등 많은 비용, 시간, 인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외부 서버에 자료를 저장하기 때문에 안전하다. 그러나 서버가 해킹당할 경우 정보유출이 가능하고 서버에 데이터가 손상되면 백업하지 않은 정보는 복구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 최근 보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통용되는 모바일 기기가 6천만대에 이른다고 한다. 이는 2대 이상의 기기를 활용하는 국민이 많다는 사실이다. 이는 MCC 활용기술의 개발 보급이 매우 중요해졌다는 것이다. 우리 모두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분야의 신기술 개발에 관심을 집중해야겠다.
- 저자
- Antony Thoma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46()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913~920
- 분석자
- 김*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