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능동형 상지 외골격 로봇 개발동향

전문가 제언

의료용 로봇 중에서 착용형(wearable) 로봇은 로보틱스 분야에서 관심을 끌어온 주요기술 중의 하나다. 특히 외골격(exoskeleton) 로봇은 미국, EU, 프랑스 등이 군사용 또는 우주개발에 필요한 군사훈련, 재활치료, 근력지보조용 등으로 개발하여 일부 실용화되고 있다. 많은 경우 상하지 착용지원 모델이다.

 

소아마비, 어린이, 노인, 재해피해자의 어깨--팔꿈치-손목-손가락에 이르는 상지의 일부 또는 상당부분에 소아마비, 재해 등으로 근력이나 기능에 문제가 생겼을 때 보조하거나 재활에 이용할 목적의 상지 외골격 로봇에 관한 연구개발이 1960년대 이후 활발히 이뤄져왔다. 본문은 이 유형의 로봇에 관한 기술동향을 분석한다.

 

전기모터 구동방식을 중심으로 공기압, 유압구동방식의 상지 외골격 로봇 개발연구가 미국을 중심으로 일본, 독일, 영국, 중국,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어왔고, 2000년대 중반 이후 일부 모델이 민간의 재활치료용으로 시장에 진출하는 등 최근 빠른 속도로 실용화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 연구와 실용화에서 매우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일본의 경우, Tsukuba대학의 연구성과를 기업화한 Cyberdyne사의 의료용 HAL(Hybrid Assistive Limb) 유닛이 임상 사용승인을 받고 병원과 간병기관에 공급되고 있다. 파워 슈트인 HAL은 뇌에서 근육으로 전달되는 근전신호를 검출하여 동작을 지령하는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시스템으로서 해외진출을 위해 이미 ISOEU의 인증을 받은 바 있다.

 

이 논문은 한국인 논문 3건을 인용하고 있다. NDSL 검색결과, 2010년 이후 착용/외골격 로봇에 관한 국가 R&D프로젝트가 KAIST, 서울대, 연세대, 기계(), 생산기술(), 한성대 등에서 추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계()능동형 재활치료 및 미세 현장진단 기술개발과제는 고령친화 지능형 재활치료용 상지 외골격 로봇에 관한 내용이다. 이 분야는 장래 BMI(-기계 인터페이스)기술발전과 관련이 있는 새로운 영역으로서 국내연구진이 세계적 브랜드를 목표로 도전이 기대되는 분야다.

저자
R.A.R.C. Gopura, D.S.V. Bandara, Kazuo Kikuchi, G.K.I. Man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75()
잡지명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203~220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