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착층이 사용된 착용형 무선 패치
- 전문가 제언
-
○ 무선통신이 가능한 착용형 패치에 접착층과 접착층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로 이루어진 지지 기판으로 구성된 전단 회로층이 포함된다. 거기에서 지지 기판에 있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는 전단 회로층이 전단되어 확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도성 회로는 기질에 삽입되고,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이 그 전도성 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탄성층은 전단 회로층에 놓여있다. 그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과 전도회로는 외부 기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 본 특허의 새로운 착용형 패치에서 필수적인 구성요소인 접착층에 대한 구체적인 청구범위가 기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접착층의 소재(예 : 접착제의 종류)를 제품별(예 : 의료기기, 전자기기 등)로 연구 개발하면 그 결과가 새로운 특허로 출원될 수 있을 것으로 사려 된다. 또한 그 특허에 관련된 새로운 착용형 패치도 개발 가능할 것이다.
○ 미래의 인체 인트라넷 시대에 맞추어 착용형 건강관리 기기들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이미 동맥경화를 감지하는 피부 패치, 뇌전증(간질) 발작을 감지하는 장비, 뇌 속에서 정기적으로 특정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는 장비 등이 만들어졌다.
○ 착용형 건강관리 기기 중 가장 연구가 활발한 것은 피부에 부착하여 체온, 맥박, 호흡량 등을 살피는 방식으로 주요한 구성요소는 소재이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의 존 로저스 교수는 미세한 센서로 구성된 “바이오 스탬프”라는 장치를 만들었다. 유연한 고무가 활용된 그 스탬프는 신축성이 뛰어나므로 우수한 안락감을 보유하며, 와이어와 안테나는 구부리거나 비틀어도 기능에 전혀 문제가 없다.
○ 일본 도쿄대학교의 소메야 다카오 박사는 상기의 “바이오 스탬프”보다 더 나은 전자 피부를 개발하였다. 두께는 1 마이크로미터에 불과하지만 팔꿈치와 무릎처럼 움직임이 큰 부분에 부착되어도 잘 신장된다. 그것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체온, 습도, 맥박, 혈중 산소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 위에 회로를 인쇄한 형태로 저렴하고, 대량생산도 가능하다.
- 저자
- Vivalnk Limited(Cayman Islands)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4395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4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