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이캐스팅을 포함한 주조업의 로봇 활용

전문가 제언

다이캐스팅은 정밀도가 우수한 주물을 0.1sec 이하의 단시간에 금형에 충전함으로 승압 공정의 안정제어와 설비를 안정하게 가동하여 정밀도가 우수한 주물을 하이사이클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자동차 부품을 중심으로 전자 기기의 소형 제품까지 생산하는 공정이다. 본고는 주조공장의 열악한 환경개선과 고품질, 신뢰성 있는 제품을 경제성 있게 제조하려는 방법으로, 로봇을 이용하여 셀 생산방식으로 개발한 중요한 기술임으로 우리나라 주조공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다이캐스팅에서 안정한 품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이캐스팅기, 금형과 합금재료이다. 다이캐스팅기의 재현성, 금형 체결 안정성과 용탕 성분과 용탕 관리 등이 중요한 요소들이다. 다이캐스팅기에 금형을 설치하여 생산하는 공법의 특성상 주변 설비는 범용 설비로 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품종 소형 로드 생산이나 제품의 모델 변경을 유연하게 대응하기위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을 변경할 수 있게 하고 이 동작이 정밀도가 높은 다축산업용 로봇이 범용성과 재현성이 우수하여 다이캐스팅기의 부대설비로 활용되고 있다.

 

다이캐스팅 생산공정에서 게이드 절단, 제품냉각, burr 다듬질 등의 후처리공정을 인라인 설계하기가 곤란하다. 만일 많은 기계 종류에 대응한 라인이 설계될 수 있더라도 금형교환에 따르는 공구교환 등 준비 시간이 걸리고 라인 전체 생산성이 떨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한 로봇을 활용하여, 주조로부터 burr 다듬질까지 다이캐스팅 일관 생산라인의 레이아웃이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대자동차 협력회사나, 삼성전자의 협력회사 등에서 자동차 Al합금 다이캐스팅 실린더 블럭 등의 제품이나, 전자기기 케이스 등 다양한 부품이 생산되고 있는데 아직은 로봇을 이용한 일관 생산라인이 없는 것 같다. 앞으로 노령화와 외국노동자들의 임금도 평준화될 시기를 대비하여 로봇을 이용한 일관 생산라인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저자
Uchito Sokushi, Saito Takuo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56(11)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9~23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