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해도산 푸른 차조기 추출물을 이용한 항 알레르기 식소재의 개발
- 전문가 제언
-
○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와 차조기(Perilla frutescens var. crispa)는 1년생 꿀풀과(family)의 식물로 같은 종의 변종에 해당된다. 옛날부터 동아시아의 들깨는 유료작물(oil crops), 차조기(자소엽)는 약용작물로 재배, 이용되고 있다. 차조기는 항산화, 항알레르기, 항균, 항암 및 당뇨에 효능이 있으며 그 구성 성분은 anthocyanin, essential oil, vitamin, mineral, rosmarinic acid 등이 보고되었다.
○ 차조기 추출물은 다양한 알레르기증상의 치료효과가 기대되어 본고에서는 북해도산 푸른 차조기 추출물의 인체 임상시험을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및 화분증(꽃가루 병)의 저감효과를 조사하였고 동물실험을 통하여 알레르기 유사 과잉면역반응으로 유발되는 염증성 장질환의 억제작용을 조사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 또한 차조기 추출물의 성분과 기능을 연구한 결과 그 중에서 현대병의 하나인 알레르기 특히 화분증과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을 치료·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밝혀져 식품 소재로의 기능성이 확인되었다.
○ 국내에서는 차조기 잎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김미향 등 2007), 들깨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 작용(이종임 등 2008), 소엽 추출물이 마우스모델에서 항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고정아 등 2010), DSS(dextran sulfate sodium)장염 동물모델에서 Benzoxazole 유도체인 B-98의 장염 예방효과 및 T세포분획 변화(송은미 등 2013),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로 장흥차조기 열수 추출물의 지표성분인 로즈마린산 분석법 검증 등의 연구가 보고된바 있다.
○ 차조기(소엽 또는 자소엽)의 주성분은 정유 성분으로 휘발성이 있어 그 향이 매우 강하다. 이 향 자체가 약성이 있기 때문에 정유 성분의 유지가 중요하다. 앞으로 차조기의 전래된 효능을 밝히는 과학적 연구가 더 구체적으로 다양하게 진행되어 기능성 및 의약소재로 실용화를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MAEDA Takahiro TAKANARI Ju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7(8)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1~27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