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차량용 전고체 전지와 계면형성 프로세스 개발

전문가 제언

리튬이온전지는 주로 스마트폰 등 모바일 정보통신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용량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자동차 및 에너지저장 등의 용도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리튬이차전지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의 주요 4가지 재료로 구성된다.

 

화석연료 절감과 탈피를 위해 자동차 메이커는 하이브리드자동차(HEV), 전기자동차(EV), 연료전지자동차(FCV) 등의 자동차 개발?실용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는 동력원으로 전지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차전지가 필요하다.

 

리튬이온전지를 차량용 전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성능이 요구된다. ① 차량의 에너지 밀도, ② 감속 시의 효율적인 에너지 회수나 발진 및 급가속 시에 필요한 출력성능, ③ 충돌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한 이상 발열이나 발화에 대한 안전성, ④ 충방전 사이클에 수반하는 수명특성, ⑤ 일반시장에서 가능한 코스트 등이다.

 

이 문헌에서는 전고체전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전 고체전지는 고체전해질이 전해액?분리막 양쪽 모두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전 고체전지는 장점이 많으나 동시에 극복해야 할 과제도 있다. Li 이온이 「고-고계면」이라고 하는 한정된 접촉면을 통해 전도되기 때문에 고-액 계면에서 전면전도가 가능한 액체계 전지에 비해 출력이 것이 문제이다. 계면형성 프로세스가 분체재료의 집결체인 전고체전지를 성립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기술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 소형 이차전지 시장에서는 국내 업체들의 점유율이 계속 상승 중이나 양극, 음극 재료 등의 중요 부재료는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향후 친환경자동차 시장이 확대되면 이차전지 수요증가로 안정적인 부품공급과 소재확보 중요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리튬이온전지의 재료개발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전지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나 재료의 본질과 제조 공정상에서 전지의 효율을 상승시키는 연구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
Ishiguro Yoshi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3(12)
잡지명
工業材料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4~29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