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Fe합금 징케이트 처리한 알루미늄 합금표면의 XPS에 의한 검토

전문가 제언

2중 징케이트 처리기술을 적용하면 크롬도금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자동차용 알루미늄휠에 알칼리성 아연치환 도금액에 알루미늄 합금을 소지로 하여 아연 치환층 표면에 구리나 니켈도금을 함으로 크롬도금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우선 아연 치환층을 질산으로 박리하고 다시 징케이트 처리하는 방법을 2중 징케이트(Double Zincate) 처리라고 하는데 주로 내마모, 내식성 향상이 목적이다.

 

2004년 일본의 K. AzumiK. Nishimura 등은 징케이트 처리과정에 서 알루미늄 표면의 화학조성을 분석하였다. 또 도금피막의 석출 상태, 아연치환 도금피막의 석출 형태를 밝혔다. 2중 징케이트 처리공정에서 아연이 치환될 때의 전위도 측정하고 아연 치환층의 다양한 해석기구도 보고하였다. 도금피막의 밀착성이 향상된 이유는 알루미늄 표면의 산화층이 제거된 알루미늄 표면에 아연이 석출하고 합금층이 생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밝혔다.

 

인천 주안 수출산업단지에 위치한 동화상협사는 자동차용 휠을 생산하여 인근의 도금업체에 징케이트 처리를 임가공처리하고 있다. 2003년 국내에서도 2중 징케이트 처리기술을 적용하면서부터 알루미늄 자동차휠의 크롬도금 밀착성이 현저히 개선하고 있다. 종래의 Fe휠에 비하면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휠은 강도가 무려 3배 이상 강하며 차체도 경량화 되어 연료절감 효과도 뛰어나다. 하지만 향후 전기자동차용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의 도금밀착성 확보를 위해서는 2중 징케이트 처리 적용이 필수적이다.

 

Fe합금 징케이트 처리를 2회 이상 반복하게 되면 알루미늄 소지 표면에 수소가스가 심하게 발생하고 오히려 표면이 거칠게 된다. 이 때문에 크롬도금 밀착성 향상을 위하여 알루미늄 소지에는 2중 징케이트 처리까지만 진행할 것을 권장한다. 반월공단의 우진도금사는 고급 차종 알루미늄휠을 도금하고 있다. 이에 미래의 자동차휠의 도금전처리로 2중 징케이트 처리는 필수적이며 이에 대한 기술 정보제공도 요구되고 있다.

저자
Tsutomu MORIKAWA, Takuo NAKAD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6(12)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58~665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