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3가 티타늄을 환원제로 하는 무전해 주석도금

전문가 제언

무전해 도금은 금속이온을 수용액 상태에서 석출시키는 방법으로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자기촉매 방법에 의해 금속을 도금하는 방법이다. 치환도금과 화학도금으로 나뉘며 환원제에 의해 도금되는 자기촉매형 환원도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무전해 도금은 전기도금에 비하여 균일한 도금두께를 확보할 수 있으나 보조약품이 많이 첨가되므로 비싸고 노화가 빠른 것이 단점이다. 2013년 중국의 L. Xu는 산화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주석 석출을 촉진시켰고 자기촉매적으로 성장한 치밀한 주석도금 피막을 얻었다. 주석의 석출조성 변화는 단순히 도금반응에 작용하는 환원제나 금속이온의 농도와 pH변동에 따르지 않는 연구결과를 밝혔다.

 

1995A. SendaTiCl3를 환원제로 한 무전해 주석도금액에 칼슘염이나 마그네슘염을 첨가하여 주석의 석출을 촉진시켰다. 최근 일본의 H. Koyano 등은 Sn2+Sn4+이온 간에 생기는 산화환원반응을 주석 석출의 구동력으로 한 무전해 주석도금액을 개발했다. 일본에서는 인터포저용 전기도금 배선에 28nm급 전기동 도금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도금후처리에서도 종래의 솔더도금이나 솔더링에서 무연 솔더링으로 전환되면서 주석도금 첨가제 국산화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2002년 국내 반월공단의 영인플라켐사는 무전해 주석-보론 복합도금액을 개발했다. 무전해 주석 합금도금은 주로 시계의 정밀부품이나 반도체 전자부품에 널리 사용되며 최근 베트남으로 전자부품 생산기지를 이전해 가면서 종래의 솔더도금 대신에 무전해 주석 복합도금액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향후에도 국내 도금액 개발업체를 대상으로 주석도금 첨가제에 관한 기술정보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저자
Takemoto TAKAHASHI, Lei XU, Shigeru WATARIGUCHI, Kazutaka TAJIM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6
권(호)
67(2)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05~110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