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입자의 표면제어와 유기무기 하이브드 재료로서 응용
- 전문가 제언
-
○ 일반적인 졸겔법은 겔화에 따른 경화수축이 크고 경화반응이 장시간 소요되는 등 결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졸겔법의 결점을 경감하는 방법으로 금속산화물 특히 지르코니아 나노입자를 이용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화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 지르코니아 나노입자를 폴리머-매트릭스 중에 분산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에 있어서 고굴절률의 지르코니아 나노입자의 응집을 억제하고 고도로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나노입자 표면의 화학변성은 필수적이고 2 단계법에 의한 표면처리가 효과적이었다. 게다가 다작용 아크릴레트 모노머에다 지르코니아 나노입자를 고도로 분산시키는 것으로 광 가교된 고굴절률 투명박막을 제조하였다.
○ 또한 비스페닐플루오렌 골격을 가진 고굴절율의 듀얼 사이드형 실란커플링제에 의한 지르코니아 나노입자 분산체를 제조하여 폴리머 중에 분산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에다 적용하였다. 더욱이 듀얼 사이드형 실란커플링제(DAP-Si 등)를 이용한 지르코니아 나노입자 분산체를 개발하였다. 이 하이브리드 박막은 굴절률이 1.5 전후의 투명 플라스틱 PMMA, PS나 광경화성 모노머를 1.7까지 고굴절률화를 달성하였다.
○ 국내에서 지르코니아 나노분말 등은 미국, 중국 등에서 수입하고 있다. 지르코니아 나노입자 표면과 유기 다작용기로 변성한 다양한 실란커플링제의 합성 및 표면제어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제조된 지르코니아 나노입자 분산체는 투명성 플라스틱이나 광경화성 모노머와 광개시제 등에 의한 고굴절률화 투명박막 소재의 광학재료 개발이 필요하다.
○ 이들 굴절률을 제어한 박막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디스플레이 정보단말기에 없어서는 안될 재료이고 특히 반사방지막이나 ITO와 굴절률 매칭층은 디바이스의 시인성 향상 등에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LG하우시스의 “플루오렌유도체 수지 및 금속산화물(TiO2, ZrO2 등)에 기반한 고굴절층 코팅용 조성물”과 관련된 WO 2014035018(2014.3.6)의 국제특허가 공개되어 있다.
- 저자
- Kimihiro MATSUKAWA and Seiji WATAS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51(10)
- 잡지명
- 日本接着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41~449
- 분석자
- 이*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