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보안 및 인증 방법과 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비롯한 모바일기기들의 SNS가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이 메일과 SNS에 대한 보안위협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데이터통신의 보안위협은 불법적인 침입자가 가짜 송수신자로 위장하여 부정확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거나 중요 정보를 가로채는 행위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보안위협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송수신되는 상대 당사자가 정확한지 인증하고 중요정보를 변조하거나 가로챌 수 없도록 암호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정보보호방식이다.
○ 본 발명은 항공기와 지상 또는 항공기 간의 데이터통신에서 앞에서 언급한 보안위협을 방지할 수 있는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장치 HSE를 개발하여 항공기의 통신시스템에 장착하도록 제안하였다. 항공기들은 지상의 관제소뿐만 아니라 다른 항공기들과도 안전운항을 위하여 지속적인 정보교환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그동안 항공기 간의 데이터통신은 지상에서의 일반적인 데이터통신보다는 보안기능이 훨씬 미흡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보안위협에 대한 취약점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최근 우리나라는 북한의 GPS 교란 및 사이버테러 위협으로 인하여 국가안보적 차원에서 대응방안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항공기 납치와 폭발 등 항공기 테러에 대한 위협이 증가되는 현 시점에서 항공기의 데이터통신시스템을 보강하여 보안위협을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적인 보안대책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이러한 보안기술은 양방향 데이터통신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한쪽만이 장착해서는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국제적으로 각 항공사들을 규제할 수 있는 법/제도와 함께 표준화를 추진하고 현실적인 대응책을 모색하여야 한다. 물론 상당한 항공사들이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비책을 강구하고 있겠지만 항공기에 대한 테러위협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과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HOMPSON AEROSPACE,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40920
- 잡지명
- PCT 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7
- 분석자
- 남*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