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핵연소 플라즈마 운전을 향한 더스트 연구현황

전문가 제언

2019년에 운전개시를 목표로 미국, EU, 일본, 러시아, 중국, 인도 및 한국의 7개국이 공동개발하고 있는 초대형 국제프로젝트인 국제 핵융합실험로(ITER)가 남프랑스의 고속로 연구개발센터인 Cadarache연구소 내에 건설되고 있다. 또한 ITER에서는 2027년부터 중수소-삼중수소를 핵연료로 사용하는 핵연소 플라즈마 실험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ITER 프로젝트는 태양을 비롯한 모든 항성들에서 일어나고 있는 핵융합을 지구상에 인공적으로 실현시켜 인류가 궁극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핵융합기술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핵융합 기초현상 연구단계에서는 실제의 핵연소 플라즈마 운전에서 중요한 현상인 더스트 발생메커니즘, 수송메커니즘, 수소동위원소 축적, 안전관리 및 삼중수소관리 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 자료는 그러한 핵융합기술 개발현황과 향후 과제를 잘 정리하고 있으며 핵융합의 엔지니어링기술이 잘 축적되어가고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초로 모든 전자석을 초전도자석으로 구축한 핵융합 연구시설인 KSTAR를 건설 및 운영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험은 세계 핵융합계가 높이 평가하고 있다. 또한 KSTARITER 건설의 핵심기술인 초전도마그넷 시스템 구축에 큰 공헌을 하였다.

 

ITER과 같은 초대형 국제프로젝트에의 참여 및 경험축적은 첨단기술 발전과 인재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소재산업, 고성능 컴퓨터 시뮬레이션,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견고한 기초능력을 쌓아가는 매우 귀중한 기회가 되며 핵융합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의 기초분야를 육성 발전시킬 것이다.

 

저자
S. Masuzak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92(1)
잡지명
プラズマ核融合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13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