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유통의 국제화와 국제식품안전협력기구(GFSI)의 역할

전문가 제언

Global Food Safety Initiative(GFSI)는 세계의 식품관련 기업이 협동으로 추진하는 국제식품안전협력기구로서 광우병 등 식품 사고가 연달아 발생한 2000년 식품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한 식품 생산회사, 소매 업체의 CEO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후 각국 각사의 식품안전 전문가가 이 네트워크를 통해 식품에 관한 문제 해결에 노력하고 있다.

 

일본이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GFSI의 임무는안전한 식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데 확실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식품안전 관리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는 것으로, 목적은 식품 안전관리의 수렴 업무 중복 감소, 효율화 식품안전의 수행 능력 향상 협력, 지식공유, 네트워크 장소 등의 제공이다.

 

일본은 식품사고 건수도 서양보다 많지 않으나, 식품 안전의 국제화에 대해서는 산업체와 관청 모두 부진하여 국제흐름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어 많은 기업에서 법 준수와 국제규격인 HACCP이나 FSSC 22000 등의 인증을 받지 못하여, 대형 건설사가 건설한 식품공장이 허가를 받지 못한 적이 있다. 우리도 이런 흐름을 교훈삼아 국제적인 인증을 받아 인증 표시를 하는 등 글로벌화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

 

EU 수출 수산식품에 관련된 가공공장의 인정시설 수와 세계 순위는 중국이 567곳으로 3, 태국 290곳으로 6, 한국 64곳으로 21, 일본 25곳으로 33위이며, 냉동선박 수는 중국 172개로 3, 러시아 160개로 5, 한국 158개로 6, 일본 109개로 8위이며, EU 수출 수산식품에 관련된 주요국의 인증기관 수를 보면, 미국 947, 태국 290, 한국 64, 일본 27개로 인증기관이 되어 있다.

 

국내 HACCP 인증업체 수는 ’128,138개소에서 ’1513,991개로 증가하였으며, 식품축산물 생산량에서 HACCP 적용 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1240.1%에서 ’1553.9%로 증가하였다. ’16년에는 식품축산물인증원으로 이원화된 HACCP 인증기관을 통합하고, 식품 HACCP에도 인증유효기간을 도입하여 3년마다 연장심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저자
Katsuki Ki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32(1)
잡지명
日本食品微生物???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2~16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