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액체 내 열 감지를 위한 이종재료 캔틸레버 빔에 대한 연구

전문가 제언

이종재료(bimaterial) 캔틸레버 빔을 이용한 온도측정의 개념은 이미 19 세기에 대두되었을 정도로 이제는 새로움과 첨단성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이 개념을 생체에 적용하여 하나의 세포가 발생시키는 미세 열량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이 논문이 처음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종재료 캔틸레버의 온도 감지 분해능은 온도 변화에 따른 캔틸레버 빔의 굽힘 능력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주어진 온도변화에 대한 최대 굽힘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캔틸레버의 조합과 구조를 시도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캔틸레버를 이용한 온도측정 기술개발에 대해서는 국내에서도 많은 대학과 연구소 및 기업에서 수행되고 있다. 기술의 속성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지금은 새로운 기술의 개발보다는 응용에 역점을 두고 있는 추세이다. 한 예로 ETRI 창의연구센터의 김현탁 박사는 이종재료 캔틸레버의 온도감지 기능을 넘어 전자 개폐기와 차단기에 적용하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업으로부터도 반응이 있어서 국내 동원그룹의 동원시스템즈와 연구협력 사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삼성종합기술원은 적외선 영상 측정을 위한 IR 센서 기술에 이종재료 캔틸레버 빔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삼성을 포함한 많은 기업의 연구팀이 요즘 관심을 크게 끌고 있는 사물인터넷에 적용되는 오감센서 개발의 일환으로 캔틸레버 온도 센서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고려대학교-KIST 융합대학원 연구팀이 일정 시간 후 뇌에서 자동 분해·흡수되는 생분해성 압력/온도 센서를 개발하여 해외 학술지에 보고한 바 있다. 이는 만성 뇌질환 환자의 뇌압과 온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진료에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는 것으로서, 실용화될 경우 큰 의학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온도 센서의 정확한 구조와 관계없이 이 연구는 생체 측정에 IT 기술을 접목시키는 사례로서, 이종재료 캔틸레버 센서의 진화 방향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저자
I. Voiculescu, F. Liu, T. Ono, M. To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6
권(호)
242()
잡지명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58~66
분석자
은*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