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정밀 와이어 방전가공기

전문가 제언

방전가공(EDM: Electric Discharge Maching)은 가공부에 발생하는 방전작용을 이용하는 것으로 피가공물이 경질합금이나 취성재료인 다이아몬드, 수정 등의 절단, 천공, 연마 등의 가공에 이용되는 가공법이다. 금형이나 지그, 게이지 등의 제작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현대의 금형가공에서는 고정밀도인 다축가공이나 방전가공으로부터 최근에는 Additive Manufacturing 등의 다양한 가공기술을 구사하여 보다 고정밀도로 복잡한 기하특성을 부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가공물의 기하 특성뿐만이 아니라 공구, 공작기계, 가공환경, 가공계측작업 등 가공 정밀도를 직접 지배하는 광범위한 요소 즉 가공 특성에 미치는 인 프로세스/온 머신 가공평가의 필요성도 높아져 가고 있다.

 

제조공정 즉 가공공정에 있어서는 CAD/CAE/CAM/CAT의 원용이 불가결이며, 수치모델에 의한 기능해석이나 공정해석을 위한 기하학 량의 정보가 채용되고 있으며, 거기에 해석데이터와 3차원 형상 측정 데이터의 평가에 준하여 정보나 공정이 관리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술은 ICT산업과 연계 변혁해가는 가운데 일본의 Seibu전기(西部電機)사는 와이어방전 가공기의 새로운 혁신으로 방전액으로 기름을 사용했을 때의 가공속도를 물을 사용한 방전가공기에 비하여 빠른 와이어 방전가공이 가능한 와이어 방전가공 기를 개발함과 동시에 3D Level 조정 및 측정기능과, 초경합금의 가공 표면에 와이어 전극소재인 동을 코팅하여 코발트가 수중에서 이온화 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 하고, 코어스티치변환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중자낙하를 효과적으로 처리, 작업시간을 대폭 저감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선진공업국의 공작기계의 발전은 날이 다르게 진화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공작기계설계 기술 수준은 아직 이에 미치지 못하여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공작기계의 제조기술은 상당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설계기술 향상을 위한 많은 투자가 필요로 된다.

저자
Shinya NISHIDOM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63(8)
잡지명
機械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48~52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