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공작기계의 지능화와 CNC 제어장치의 진화

전문가 제언

공작기계의 발전은 급속 고도화로, 고능률화와 동시에 복합가공, 난삭재가공, 미세 복잡형상가공이나 비기계적인 에너지를 사용한 가공기술 등, 가공기술을 핵으로 한 새로운 공작기계의 제안이 많아지고 있다. 거기에 더해 신세대 CNC의 등장 등, 앞으로의 동향을 시준하는 많은 기술이 제안 실용화 되고 있다.

 

새로운 공작기계에 바라는 고객 요구와 공작기계 메이커의 대응은, 우선 고객요구는 고정밀화, 고능률화, 고성력화, 안정신뢰성의 확보, 환경성 에너지화, 코스트저감, 단 납기에 충실한 서비스를 바라며, 이에 메이커의 대응책으로는 고속화, 동시 다축제어복합화, 모듈구성 화, 열 변형 프리화, 고정밀에 고강성화, 고조작성화, 시스템 적합화에 의한 자동지능화, 정보통신 대응 ICT, 유지보수 프리화, 고도인 툴링가공기술의 발전 등으로 대처하려 한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선진 공업국의 발전상황을 보면 독일은 제4차 산업혁명(Industry 4.0), 미국은 산학연 컨소시엄(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을 제창 새로운 산업혁명을 부르고 있다.

 

CNC 공작기계는 단순한 수치제어로 CIM에 의한 형상가공, 공장을 운용관리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실행 시스템(MES)에 의한 제조관리, 기업 자원관리(ERP)에 의한 경영관리까지를 담당하며, Cloud ComputerIoT의 기술을 구사하도록 발전해 갈 것이다. 공작기계의 지능화 지원 주변기술의 발전에 관해 선진공업국이 추진하고 있는 미래기술의 현상을 EMO Milano 2015를 통해 조사한 보고가 있다.

 

미래의 공작기계는 공장운용 및 경영관리 측면까지도 포함한 지능화된 공작기계로 발전해 갈 것으로 예견된다. 이들 내용을 선도하는 국가들은 역시 유럽과 미국, 일본으로 우리나라도 이들 대열에 들기 위해서는 설계기술에 많은 투자가 있어야 할 것이다.

저자
Keiichi SHIRAS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64(1)
잡지명
機械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6~21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