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분자를 이용한 스마트 항암치료 나노입자체계 개발

전문가 제언

국립암정보센터의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암환자 수는 1999년에 101,032명이었으나 2013년에는 225,343명으로 2배 이상으로 증가되었다. 환자 발생률에 있어서도 인구 10만 명당 환자 발생수가 1999214.2명에서 2013년의 445.7명으로 2배 이상으로 높아졌다. 이는 보건상의 문제와 아울러 관련 바이오의약 산업의 생물학제제 수요와 관련이 있어 관심이 증대된다. 구체적으로 Health Topics에 의하면 로슈의 만성림프성백혈병 Rituxan 품목의 2012년 매출액이 70억 미 달러로 보고되어 항암제들의 매출 규모를 가늠하게 한다.

 

특히 기존의 암치료제들은 암세포와 정상세포에 대한 선택성이 부족하여 독성 문제가 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생리학적 장애를 극복해야 한다. 새로운 항암제를 개발하려는 시도 중 하나가 단백질 바이오 분자를 이용한 스마트 치료 나노체계(STNS: Smart Therapeutic Nano Systems)로 본 리뷰에서는 그 작용 원리와 적용 사례들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이 분야는 나노기술 분야 중의 의학분야 사업으로 가장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주제로 평가된다.

 

나오입자 체계 기술을 활용하여 의약품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바이오합성, 단백질 화학 등의 기술적 해결과 함께 나노물질의 독성, 안전성 및 생산성 등에 대한 해결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세계의 다수 국가가 활발한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1999년부터 국가 나노기술계획(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을 수립하여 미국 국립보건원(NIH)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진단 치료 등 5개 의학 분야 과제들이 추진 중이며 암치료 나노입자 체계는 가장 실현성이 높은 분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에서도 보건복지부와 미래창조과학부 등을 중심으로 나노기술을 이용한 연구사업들에 정부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1년까지 나노의학 분야에 3,327편의 논문이 게재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이제 바이오 분야 중에서 본 리뷰에서 소개하는 STNS 기술에 개발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저자
Rebeca Nunez-Lozano, Manuel Cano, Bele´ n Pimente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5()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5~140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