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체 감응용 산화그래핀의 응용 동향
- 전문가 제언
-
○ 그래핀 합성 과정의 중간체인 GO(Graphene Oxide)는 흑연을 강한 산화제로 처리하여 얻는다. 특성은 산화 정도와 합성 방법에 따라 상당한 편차가 있다. 전기적, 기계적, 열적 특성이 우수하여 큰 관심을 받고 있다. GO-기반 기체 센서, 에너지 저장재료, 탄소 섬유 및 여과재 등 응용 분야가 나날이 늘어나고 있다.
○ Novoselov 등이 2004년 그래핀 나노시트의 전기적 특성을 발견한 이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습도, O2, H2, H2S, NH3, CO2 등의 기체와 아세톤, 에탄올과 메탄올 및 석유 가스를 탐지한다. 화학작용제 중에서 살상력이 가장 큰 신경작용제 탐지에도 쓰이게 될 것이다. 기체 농도는 전기 전도도나 광학 특성 변화로 측정할 수 있다.
○ GO의 기능기는 기체 감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에폭시와 수산기는 흡착 에너지를 늘려 NH3 흡착을 촉진한다. GO 나노시트에는 기체 분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OH, 에폭시 및 카르복시기와 같은 기능기가 많다. 탐지할 기체에 대한 선택성과 감도는 GO를 금 나노입자 같은 다른 재료와 섞어 하이브리드로 만들거나 훼방하는 기체를 덮어 개선할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도 그래핀과 그래핀 화합물을 이용하여 환경에 존재하는 각종 독성 기체를 탐지하는 센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 숨 쉴 때 나오는 기체를 탐지하여 진단에 쓰이는 GO-기반 센서 등에 대한 연구가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 인용된 논문 10여 편에서 우리나라 사람이 주저자로 소개되고 있다.
○ 1995년 옴 진리교 집단이 동경 지하철에서 사린 신경작용제를 살포하여 12명이 사망하고 수많은 사람이 중독되었다. 이 사건은 화학 테러리즘이 전 세계를 공포에 빠뜨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이런 사건이 발생할 때 빨리 대응할 수 있는 GO-기반 기체 센서 같은 빠르고 비싸지 않으며 운용하기 쉬운 탐지기의 개발이 시급하다.
- 저자
- Kei Toda, Ryo Furue, Shinya Hayam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878()
- 잡지명
- Analytica Chimica Act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3~53
- 분석자
- 김*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