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구온난화에 의한 중국 황토고원 지역의 기온과 강수의 극한변화

전문가 제언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기후변동과 일기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요소 중에서 북극진동(Arctic Oscillation, AO)과 서태평양 아열대고기압 강도지수(Western Pacific Subtropical High Intensity Index, WPSHII)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 들은 여름철과 겨울철 동아시아 몬순강도 변화와 한반도 봄철 계절 변화, 여름철 장마 및 겨울철 기온변동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북극진동(AO)과 서태평양 아열대고기압 강도 지수(WPSHII)의 변동은 중국과 몽고지역에 걸쳐 있는 황토고원(Loess Plateau)의 기후변동, 특히 이 지역의 극한 기온과 극한강수의 발생과 크게 관련이 있다.

 

황토고원의 기온상승과 극한 강수현상의 변화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과거 53년 기간 강수는 10년 단위 일강수량이 -0.14mm로 감소하고 폭우나 토양침식 및 강우강도도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황허강의 토양침식 약세로 지면의 온도는 더욱 상승하게 된다. 한편 황토고원의 기온상승은 유라시아 대륙의 상층대기의 기압 상승을 유발하고 이에 따른 북동기류의 강세는 북쪽으로부터의 건조한 바람을 형성하여 동북아시아 극동지역의 수분 장 유입을 저해한다.

 

기온상승으로 황토고원지역의 상하층 지균고도의 폭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상층 500hPa 고도 장에 강한 고기압성 순환을 형성하여 여름철 편서제트기류(western Jet flow)의 방향을 변화시켜 하층발산을 강화하며 수분수렴을 저해하여 장마형성을 약하게 한다. 기상청의 기후예측과를 비롯한 장기기상 예측 부서는 중국의 황토고원의 기온증가 현상을 위성관측과 국제협력을 통하여 민감하게 수집하고 있다.

 

1960-2013년 기간 황토고원의 극한기온상승과 극한기온하강의 변화가 2015년 한반도 대 가뭄의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수자원 부족국가인 우리나라는 황토고원의 기상기후 상태를 참고하여 인공강우 등 수자원 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저자
Wenyi Sun, Xingmin Mu, Xiaoyan Song, DanWu, Aifang Cheng, Bing Qi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68()
잡지명
Atmospheric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3~48
분석자
오*남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