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소(앙꼬)의 Polyphenol량, SOD활성 및 배양세포에 의한 활성산소의 생산억제
- 전문가 제언
-
○ 활성산소 종(ROS)이나 free radical은 생명활동에 따라 에너지 생산의 부산물로 생산 되는데 이 ROS(Reactive Oxygen Species)는 저농도에서 생체방어 등의 좋은 효과를 보이는 반면 고농도에서는 암, 당뇨병, 심장질환, 치매 등 질병의 발증이나 노화의 촉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항산화 성분으로는 비타민류나 polyphenol이 알려지고 팥 폴리페놀은 chlorogenic산, catechins, croanthocyanidins 등이 있다.
○ 벤젠고리(C6H6)의 수소 중 하나가 수산기(OH)로 치환된 물질을 페놀이라고 하는데, 수산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을 폴리페놀, 즉 '다가(多價)페놀'이라고 총칭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자연계에 많이 존재한다.
○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류(catechins), 커피에 포함되어 있는 클로로겐 산, 딸기나 가지, 포도, 검은콩, 팥 따위 붉은 색이나 자색의 안토시아닌계 색소 등은 모두 폴리페놀 화합물이다. 이밖에도 폴리페놀 화합물은 야채나 과일, 카카오, 적포도주 등 여러 가지에 포함되어 있다.
○ 폴리페놀류는 산화를 방지하는 작용, 즉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 기능이 생체 내에서 항산화제로 작용함으로써 건강유지와 질병예방 등에 기여가 기대된다. 또한 폴리페놀류는 콜레스테롤이 소화관으로 흡수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게 해주는 작용도 한다.
○ 팥의 기능성 작용으로 (1) 팥에서 간장보호 작용 및 혈청포도당 농도의 상승억제 효과, (2) 당뇨병 모델 rat에 의하여 당뇨병성 콩팥의 경감효과 외에 인체에서 LDL콜레스테롤의 저하 및 혈철TG 농도의 억제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팥소 연구는 기능성은 전혀 없고 한국산과 중국산 적두(팥)의 조리성(1993), 붕어빵용 팥소(1999) 개발, 단감 저상품과 팥을 이용한 앙금 제조(2011) 등 산발적 연구가 있을 뿐이고 팥소의 polyphenol 구명과 역할, SOD 유사활성 및 배양세포 계에서 ROS억제효과를 전문적으로 깊은 연구가 요구된다.
- 저자
- Iku Kamitani, Kouki Fujioka,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62(7)
- 잡지명
- 日本食品科學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49~353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