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식 호빙머신에 의한 고능률 기어가공

전문가 제언

최근 자동차의 자동변속기는 승차감의 부드러움과 운전성과 속도감의 향상을 위해 단수를 높여가고 있다. BMWHonda는 변속기 중 가장 단수가 많은 10단 자동변속기를 개발 중이다. 이에 질세라 Ford에서는 11단 변속기를 개발 추진 중이라고 한다. 현대자동차도 이미 Equus Genesis에 자체 개발한 8단 자동변속기를 실차에 적용하고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유성 기어 감속기용의 소형 피니언 기어, 선 기어 등 수많은 기어류들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어 가공의 고능률화가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생산 현장에서는 피니언 기어와 선 기어 등과 같은 자동차 변속기용 기어의 가공은 작업환경의 친환경화와 가공성의 고능률화를 위해 대부분 건식가공(dry cutting)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공구도 이에 맞춰 전용 코팅된 호브 커터를 사용하고 있다. 절삭 가공시간의 단축뿐만 아니라 비절삭시간 및 작업준비 시간의 단축, 공구 규격의 수정 및 개선을 해나가면서 고능률 가공을 실현함과 동시에 오일 미스트의 방출 대책 및 노이즈 대책 등에 의해 작업환경을 한층 개선해 나가고 있다.

 

2016년 국내 공작기계산업은 미국의 금리인상과 중국 경기 둔화라는 ‘G2 리스크로 대외 환경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작기계 생산량은 전년대비 3.9%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Vietnam, India 등 일부 이머징 시장에서의 수요가 회복을 하고 있어 수출에는 희망을 걸어볼만하다. 문제는 호빙 머신과 같은 고부가가치의 가공기계를 고능률과 고정밀도를 내세워 품질과 코스트에서 경쟁력을 갖춰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기어의 수량은 매년 20억 개가 넘는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 중 자동차 산업의 변속기 시스템에 필요한 기어의 수량은 가히 천문학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엄청난 양과 더불어 기어의 복잡한 형상과 요구 정밀도 및 품질을 만족시켜주기 위해서는 가공기계와 툴링 시스템에 대한 꾸준한 연구 체제가 마련되어 끊임없는 개선을 통하여 고품질과 고능률의 공작기계를 개발하는 것만이 경쟁력 우위를 유지하는 길이라고 본다.

저자
Kazuyuki Ishizu, Yoko Hirono, Hiroshisa Ichihata, Masaru Ueno, Yoshihiro Nos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52(3)
잡지명
三菱重工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8~13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