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5㎹ 탠덤 이온가속기를 이용한 가속 방사선 손상 시험 설비

전문가 제언

맨체스터 대학의 Dalton Cumbrian Facility(DCF)에서 설치된 5탠덤 이온 가속기를 이용하여 가속 방사선 손상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실험설비가 개발되었다. DCF는 영국 국립 원자력 사용자 설비 네트워크[UK National Nuclear Users Facility network(www.nnuf.ac.uk)]를 거쳐 잠재적인 사용자에게 출입이 허용된다.

 

이 설비는 가벼운 이온(H, He)이나 또는 무거운 이온 비정의 강력한 빔을 사용하여 온도, 총 선량 및 선량률을 조절하여, 구조 재료의 체계적 방사선 손상 연구를 하고 있다. 이 방사선 조사 설비의 능력은 안정화된 스테인리스강, 3MeV 양자 빔으로 3dpa까지 영국 개량형가스원자로(AGR) 피복재에서 사용된 스테인리스강 20Cr-25Ni-Nb, 20/25 스테인리스강을 방사선조사하여 시험하였다.

 

본 시설에서 가용한 대표적인 에너지의 양성자 빔으로 20/25 스테인리스강을 쏘아 유발된 손상파일을 얻을 수 있었다. 하나의 3MeV 양성자 빔은 20/25 스테인리스강에서 40 을 관통할 것이며 10MeV 최대에너지는 260 깊이 관통할 것이다. 양성자 빔의 관통은 방사선조사 시료의 기계적 시험을 가능케 하고 있다. 5의 최대 단자 전압을 이용하면서 이온으로 20/25 스테인리스강을 충격할 때 최대 3.7 관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미국 Oak-Ridge국립연구소(ORNL)SNS, 일본 원자력연구개발국(JAEA)J-PARC에 이어 2013년에 자체 개발한 최대가속에너지 100MeV, 최대 전류 20의 대용량 양성자 가속기의 운전을 개시하였다. 1MeV의 에너지로 양성자를 가속시키기 위해서는 1.5V 건전지 67만 개를 직렬로 연결해야 한다. 100MeV 에너지를 받는 양성자는 속도 약 13/s로 날아간다. 물리학, 재료과학, 원자력, 의료 등 다양분야에 활용될 수 있으며 각 분야 기초 원천 기술 개발이 가능하다.

저자
P.T. Wady, A. Draude, S.M. Shubeita, A.D. Smith, N. Mason, S.M. Pimblott, E. Jimenez-Meler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806()
잡지명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A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09~116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