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방사성폐기물-함유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물학적 열화

전문가 제언

국내에는 그동안 중저준위 방사성물질 폐기장이 없어서 방사성폐기물을 원전이나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임시저장소에 보관하였으나, 20157월에 마침내 국내 최초로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에 건설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지하 동굴처분장이 본격 가동됐다. 이날 처분된 폐기물은 201012월부터 임시저장고에 보관 중인 한국수력원자력의 한울원전에서 발생한 방사성폐기물 16드럼이었다.

 

이곳 방사성폐기물처분장에선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드럼통에 넣어 밀봉한 뒤 지하 암반동굴 내 콘크리트 구조물에 영구 저장하게 되며, 사일로 시설 6기에 최대 10만 드럼의 폐기물을 저장할 수 있고, 자연암반과 콘크리트, 방수시트, 콘크리트 사일로, 콘크리트 처분용기 등 5중 구조로 방사능 누출을 차단한다.

 

지하 130m 사일로에 처분된 방사성폐기물은 강화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특수용기에 담겨지며, 이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방사성폐기물 저장은 원자력 운용으로부터 생성되는 폐기물 및 방사성핵종을 안전하게 관리하는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이다.

 

방사성폐기물 저장용 콘크리트 구조물은 장기적으로 미생물의 영향에 의해 서서히 분해되고 노후화되는 취약점을 지녀서 이에 대해 필히 감시·관리해야할 주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본문은 방사성폐기물의 저장·처분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물학적 열화와 예측에 관련된 특정요인들에 초점을 두고, 환경조건에 따른 콘크리트의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사례 및 생물학적 분해의 최소화를 위한 방법과 모델링 등을 폭넓게 요약하고 있다. 국내 방사성폐기물 저장·처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기적 건전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관리기술 및 운영지침의 기반 확립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저자
Charles E. Turick, Christopher J. Berr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151()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2~21
분석자
성*웅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