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생체활성 유리의 금속이온 대체효과

전문가 제언

생체활성유리 및 유리세라믹스는 생체의학 분야 특히 뼈 보수나 대체에 쓰이고 있다. 최근 조직공학의 발달은 생체활성 유리와 유리세라믹스의 조성에 은(Ag), 마그네슘(Mg), 스트론튬(Sr), 아연(Zn), 알루미늄(Al), 칼륨(K), 불소(F)와 지르코니아(ZrO2)등을 첨가한다. 이때 물리 화학적 성질과 치료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향후 뼈 재생의학의 중요한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생체재료는 의료용 장치, 인공장기 등에 사용하는 재료 중 인체의 정상적인 조직과 접촉하여 부작용 없이 사용하는 재료를 말한다. 대표적인 세라믹 생체재료는 관절 대체품, 뼈 고정판, 뼈 고정나사, 뼈 시멘트,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이 뼈와 연관된 소재들이다,

 

세계인구의 증가와 인간의 수명연장으로 고령화사회로 진입하게 되면 의료산업도 함께 크게 신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생체재료 시장의 성장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특히 생체재료 중에서 뼈와 관련되는 세라믹 생체재료의 시장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신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8년도의 세계시장은 대략 136억불에 이르고, 국내시장은 약 5700억 원으로 예측하는 기관도 있다.

 

국내의 기술개발 동향을 보면, 내국인 특허 출원 비율에 있어서는 매년 70%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바, 향후 기술자립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아직은 대기업보다는 대학/연구소/공공기관 및 중소기업이 특허출원의 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중소기업들이 바이오세라믹스 분야의 진출하기 위한 기술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지속적인 신기술의 개발을 위하여서는 대학의 기초연구와 연구소의 원천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또 기업체의 제품생산 기술개발이 집중될 수 있도록 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Sayed Mahmood Rabiee, Neda Nzparvar, Misaq Azizian, Daryoosh Vashaee, Lobat Tayeb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Ceramics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7241~7251
분석자
강*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