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세포배양에 의한 천연두 약독화생백신의 최근 연구동향

전문가 제언

천연두(smallpox)를 야기하는 천연두 바이러스(Variola virus)는 전염력이 매우 강하여 생물학전 및 생물테러에 악용이 크게 우려되는 중요한 생물학 작용제의 하나이다. 인류 역사에서 막대한 인명피해를 입힌 천연두는 백신도입 후 사라져 1980WHO는 천연두 근절을 발표하였다. 이론적으로는 근연관계에 있는 다른 pox 바이러스 속에 합성된 천연두 DNA를 삽입하면 공포의 천연두 바이러스를 만들어낼 수 있다.

 

살아있는 vaccinia 바이러스로 만들어진 천연두 백신은 통상 두 갈래 분지침을 이용하여 접종된다. 천연두 근절 이후 1986년 전 세계에서 천연두 백신의 정기접종이 중단되어 오늘날 세계 인구의 반 이상은 천연두에 대한 면역이 없다. 현재 1세대 및 2세대 백신을 여러 국가에서 비축하고 있으며 MVA, NTDAC, LC16m8 DNA 백신과 같은 보다 안전하고 보호 효능이 우수한 3세대 천연두 백신들이 개발되고 있다.

 

해외 선진국에서 천연두 백신 관련 연구개발은 한때 주춤하였으나 9.11 테러 이후 천연두 테러 가능성이 대두하여 재개되고 있다. 특히 미국은 국방부와 보건복지부가 협조하여 미국 전략의약품 비축 프로그램을 통해 vaccinia 백신, vaccinia 면역글로불린, 항바이러스제를 비축하고 있다. 대표적인 천연두 백신으로는 미국의 Dryvax(2008ACAM2000으로 대체), 유럽의 Imvanex, 일본의 LC16m8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천연두를 1997년 법정전염병에서 삭제하였다가 9.11테러 이후 2001116일 제4군 법정 감염병으로 다시 지정하였다. 천연두에 관한 국내 연구 활동은 해당 균주의 확보가 어려워 매우 위축되어 있으나 생물학전 및 생물테러와 같은 비상시에 대비 우리나라는 현재 1세대 및 개발된 2세대 천연두 백신(CT-50300)을 비축하고 있다.

 

LC16m81세대 천연두 백신과 비교하여 더 안전하면서 유사한 효능을 지닌다. 이에 따라 2013WHO는 비축 백신으로서 ACAM2000과 함께 LC16m8을 추천하였다. 한국도 국가안보 및 생물학전에 대비하고 현 천연두 백신의 단점을 개선하기 할 수 있는 3세대 천연두 백신 개발에 힘써야 한다.

저자
Akiko Eto, Tomoya Saito, Hiroyuki Yokote, Ichiro Kurane, Yasuhiro Kanatan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3()
잡지명
Vaccin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106~6111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