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혼란 하의 패션기업에 대해 공식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으로 인한 위험과 이득
- 전문가 제언
-
○ 지속성가능 프로그램은 기업의 지속적 성장과 효율성에 의해 환경영향을 줄이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대부분의 선진 섬유패션 기업들은 공식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자원관리뿐만 아니라 공급 사슬구조와 많이 관련이 있어 자연히 시장 혼란 하에서 공식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이 섬유패션 업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의 의문이 제기된다.
○ 이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된 가용한 패션기업 목록에서 45개 기업을 추출하여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운영기업과 비운영 기업으로 분류하고, 매출, 비용, 자기자본 이익률, 재고의 유동성 점검에 의해서 경영성과를 측정했으며, 통계분석을 위해 매출변화, 비용변화, 이익률, 자기자본 이익률, 재고 회전율 등 자료로 성과를 측정했다. 시장 혼란의 전후에 섬유패션 기업성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경제 국면 자료를 통계분석했다.
○ 분석에서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을 운용하는 패션그룹의 매출 변화 차이가 유의했으나,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을 운용하지 않는 패션그룹은 시장 혼란 전후에 매출변화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지속가능성 프로그램은 불경기 동안에 자원관리 면에서 융통성이 적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자기자본 이익률에 대해,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패션그룹은 차이가 유의했으나 비운영 패션그룹은 유의하지 않았다.
○ SFFGs는 SBFGs에 비해 생산과 분배처리에서 더 최신 공급 사슬 관리와 기술에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장 혼란으로 자원 제한을 받을 때 SFFGs는 중대한 공급사슬의 경영 처리 혁신 없이 비용을 감소시킬 수 없어 시장 혼란 시 SFFGs는 생존하기 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 오늘날 지속가능성(발전과 환경의 조화)의 실현은 중요한 글로벌 트렌드이며 경쟁시대의 국제적 표준이 되고 있어 우리나라 섬유패션 기업은 제품의 전 과정을 통한 지속가능성 실천이 필수적이나 미흡한 실정이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사례를 찾을 수 없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지속가능성 실천에 대한 연구 촉진 및 지속가능성 프로그램 구축과 그 정책지원이 요구된다.
- 저자
- Wing-Yan L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04()
- 잡지명
-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48~353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