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전성 접착제 조성물

전문가 제언

도전성 접착제는 능동부품과 수동부품 간에 전기전도성 접속을 필요로 하는 전자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리드프레임, 인쇄 회로기판, 유연한 전자소자, 세라믹기판(, LTCC-저온 동시소성 세라믹)이나 데이터 제어블록(DCBs) 같은 기판에 전자부품들을 붙이는 용도로 사용되어 전기 전자산업, 항공우주산업에서는 필수적인 소재이다.

 

도전성 접착제는 전기 전도성과 접합의 두 가지 특성을 갖추고 있는 소재로 최근 전자산업을 중심으로 금속도체 외에도 카본이나 세라믹 등을 접합하는 분야가 증대되고 전자부품의 소형화, 경량화, 고집적화, 저비용화와 더불어 저온 프로세스가 가능하며 환경 친화적이고 폭 넓은 재료에 사용이 가능한 장점들을 갖고 있다.

 

도전성 접착제는 양호한 열 및 전기전도도, 내충격성 및 이온마이그레어션 등이 중요하며 특히 접착제 접합의 안정성의 결정적 요인의 하나로써 부품들이 서로 접착될 수 있도록 이상적인 CTE(열팽창계수) 갖춘 접착제, 즉 서로 접착적으로 접합하도록 각 부분의 상이한 CTEs에 잘 부합하는 절충 CTE가 향상된 도전성 접착제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도전성 접착제의 주성분은 3040vol(부피)%의 도전성 충전제와 에폭시 같은 열경화성 수지로 구성되나, 이 발명은 (A)평균입자 크기가 125이고 종횡비 범위가 530:1을 나타내는 도전성 입자, (B)평균입자 크기가 125이고 종횡비 범위가 13:1인 비금속 입자, (C)3080vol%의 경화성(경화 및 가교 형) 레진 시스템 및 (D)010vol%의 하나 이상의 첨가제로 구성되고, (A)(B)입자들의 합은 2565vol%인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산업이 비교 우위에 있는 국내의 경우, 그간 도전성 접착제에 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여 이 발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는 않지만, 상업 생산되는(A), (B), (C) 각 성분을 예시하고 있어 참고할 만한 특허이며, 특히 (A)성분의 하나로 국내 기업 ()창성의 도전성 코팅분말도 예시 하고 있다.

저자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6
권(호)
WO20160030051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0
분석자
김*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