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활성제
- 전문가 제언
-
○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식물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생분해성 정도가 뛰어나고 기포발생률을 줄인 환경친화성 저공해 세척제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식기 세척제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거품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향이 좋으며, 잘 헹구어 지고, 식기나 환경에 안전한 제품을 원하고 있다.
○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겔상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비수성의 반응 혼합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서 프리라디칼중합을 1종류 혹은 그 이상의 모노머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에서 이온화되지 않고, 분자 내부에 수산화 관능기와 에테르 관능기의 결합으로 인하여 친유성기가 수용성으로 되기 때문에, 분자자체가 계면활성을 띠는 수용성 계면활성제이다. 이와 같은 계면활성제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화학물질의 안정성이 사회문제화 되면서 계면활성제의 생분해성 문제, 독성이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들이 알려지고 있으며, 환경규제 조치가 확대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제조회사는 동남합성, 한농화성, 호남석유화학, SFC, NH케미칼, 우진화인, 그린소프트켐 등이다. 한편, 한국화학연구원에서는 직쇄상의 분자구조를 가지는 기존의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분자내부에 입체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친환경적이고 유화력이 우수한 식물유 유래의 다이머산(Dimeric acid)을 산촉매 하에서 알킬렌디올과 에스테르반응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종인 다이머산알킬렌디올에스테르를 합성했다.
○ 따라서 이 계면활성제는 생체에 친화성이 있기 때문에, 환경부하에 저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국내의 개발경향은 친환경적이면서 적용 가능한 분야를 확대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연구, 즉 기존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세척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고기능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연구개발과 발전을 기대한다.
- 저자
- RECKITT BENCKISER FINISH BV [NL/NL]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0132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3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